미국 대학들의 기술사업화가 베이돌 법 시행 이후 크게 활성화된 것과 같이, 국내 대학들의 기술사업화 실적도 2000년 기술이전촉진법의 제정이후 다수의 관련 법규 정비와 정부의 지원 사업 및 기술사업화 경험 축적 등으로 인하여 견실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BR 그러나 국내 대학들의 기술사업화 수준은 미국 등 선진국 대비 아직도 부족한 편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론을 활용하여 동 분야에서 2000년부터 수행된 국내 논문들을 분석하여 국내 대학의 기술이전 또는 창업의 촉진 요인들에 대하여 확인하였다.BR 분석 결과 기술이전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창업 영향요인에 대한 논문은 최근 활발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연구방식은 실증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기술사업화 영향요인의 경우 대학 내부와 외부요인이 확인되었고, 전자는 인적자원, 기술・지식자원, 재정자원, 관리자원·전략, 대학 유형, 및 교육·문화로, 후자는 수요자, 지역, 및 인프라로 구분한 후 체계적 범주화를 통해 분야별 세부 요인들을 확인하였다.BR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조망하여 부족하거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집성된 국내 대학들의 기술사업화 촉진요인들은 이를 대학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체크리스트로 활용함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With the advent of new nanomanufacturing techniques has come the rise of the field of nanophotonics and an increased need to determine optical properties of novel structures. Commercial software packages are able to estimate the behavior, but require large resources and heavy computational time. By combining coordinate transforms and Effective Medium Theory (EMT), an effective relative permittivity tensor is defined and further exploited to calculate the polarization-coupled Fresnel coefficients through Maxwell’s equations. A uniaxial simplification is made to show the case of tilted nanorod arrays. To demonstrate the flexibility of this system, the interfacial reflectance has been calculated for both s - and p -polarizations as well as the coupled case with the volume filling fractions of f = 0.10 and 0.30 for silver (Ag) and titanium (Ti) nanorods, and a scenario of a Ag nanorod array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s the surrounding medium. The exact results computed by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justify the validity of EMT with polarization coupling taken into account. The effects of incidence angle and azimuthal angle on reflectance are also discussed. The relatively simple nature of this approach allows for fast estimations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various nanostructures.
Manually creating and editing the motion of a character handling a ball is a very cumbersome task because the character's motion must be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of the ball in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laws of physics.Thus, we propose a convenient way to automatically synthesize character animation for the control of a ball by using motion capture data.Because it is difficult for a beginner to control a ball skillfully, we do not use an actual ball.Instead, we capture motions that mimic the control of a ball.We analyze the motion capture data to find the frames and locations where the character interacts with the ball and create ball movement that follows the laws of physics.We can then synthesize character animation for the depiction of ball control in real tim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capturing photographs of users as input and converting them into 2D character animation sprites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Traditionally, 2D character animations have been created by manually creating an entire sequence of sprite images, which incurs high development costs.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hat combines motion videos and sample 2D images.In the 2D sprite generation process that uses the proposed technique, a sequence of images is extracted from real-life images captured by the user, and these are combined with character images from within the game.Our research aims to leverage cutting-edge deep learning-based image manipulation techniques, such as the GAN-based motion transfer network (impersonator) and background noise removal (U 2 -Net), to generate a sequence of animation sprites from a single image.The proposed technique enables the creation of diverse animations and motions just one image.By utilizing these advancements, we focus on enhancing productivity in the game and animation industry through improved efficiency and streamlined production processes.By employing state-of-the-art techniques, our research enables the generation of 2D sprite images with various motions, offering significant potential for boosting productivity and creativity in the industry.
일반적으로 공공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지닌 조직구조를 갖는 공공조직, 특히 공기업은 지속가능경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제적 또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촉진할 수 있는 혁신성, 시장성, 그리고 실현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기회 포착을 목적으로 하는 INC모델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거시경영전략 중 하나인 공유가치창출 개념을 중심으로 접근한다. 특히 INC모델에서 강조하고 있는 혁신성, 시장성, 그리고 실현 가능성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역량, 인적자원, 조직문화 등 내부자원을 바탕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민간기업의 비즈니스모델 구축에서부터 공공조직의 역할과 책임 수행까지 넓은 범위를 포용하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조직 목표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기회 인식을 공통분모로 갖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와 경제의 통합과 보다 나은 사회의 건설을 목적으로 한 사회혁신의 경영을 실천하는 한국조폐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더블버틈라인(Double Bottom Line) 달성을 위한 명확한 비전 및 경영목표 설정이다. 둘째, 공공조직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모델의 글로벌화이다. 마지막으로,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개발, 그리고 경영체계의 혁신이다. 한국조폐공사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위조방지기술, 압인기술, IT보안기술 등의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창의적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역량을 강화하고, 사내벤처나 아이데이션 그룹을 운영하는 등 아이디어 발굴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내부자원을 바탕으로 한국조폐공사는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수요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혁신역량을 확보하여 공공조직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창출과 조직운영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경제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과제들을 도출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조폐공사의 경영활동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매우 유리한 강점을 갖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조직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중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한 나라는 미국으로 전체 유니콘 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중국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특이점은 무엇일까. 또한 중국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창업교육을 늦게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다음을 이어가는 이유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이 연구는 유니콘 기업의 높은 점유율을 가진 미국과 중국,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EU, 그리고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1인당 창업 비율을 갖는 이스라엘의 창업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이들 국가의 창업 교육의 특징, 제도, 주요 프로그램 및 대표적인 사례를 창업 생태계 6요소와 조직생 태학의 이론적 틀에서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국내 창업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해외 주요 국가의 기업가 정신과 같은 창업 교육이 창업생태계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1세기의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융합기술에 대한 기업이 요구하고 있는 융합형 인재에 대한 기업의 인식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의 기업 110개를 대상으로 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융합형 인적자원에 대해 기업의 기술경쟁력 수준에 따라 실증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경쟁력 수준에 따라 선도추격자, 혁신자 및 후발추격자로 분류하여 이들 기업들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융합관련에 대한 패러다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선도추격자들은 종합설계자, 문제해결자와 통찰자의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혁신자들은 종합설계자, 문제해결자와 전문가를 요구하고 있다. 후발추격자들은 전통적인 인성을 중요시 했다. 기술경영에 대한 인식으로는 모든 집단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도추격자 및 혁신자들은 미래시장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는 CEO 및 연구인력 그리고 중간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들에 대한 교육은 이종기술과의 융합능력, 기존 기술의 첨단화 능력 및 시장 수요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자사의 제품 혹은 기술에 대해서는 이종 기술과의 접목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융합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적합한 인재상은 선도추격자와 혁신자들은 다른 업종과 접목하는 전문가, 기술과 경영을 잘 아는 전문가 및 동종의 다양한 기술을 접목할 줄 아는 전문가를 요구했다. 반면에 후발추격자들은 다른 업종과의 접목하는 전문가를 요구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gnition of the convergence human resource for firms. For this purpos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110 firms in Daejeon city and studied the convergence human resource which recognized by firms on the company competitive power level.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ies are summarized as fellows. We classified in company competitive power as leading chaser, innovators and late chaser. In the talent, leading chasers demanded the total designer, problem solver and insighter, innovators demanded the total designer, problem solver and specialist, and late chasers demanded the traditional humanity. In technology management, all group think important fields. In the demanding forecasting for the market and technologies, leading chasers and innovators demanded the CEO, R&D researcher and a middle manager as the important position. For this education, they demanded the convergence ability of other technologies, the up-to-date abilities of product and technology and the understandings of market needs. In the convergence talent or leader, leader chaser and innovator demanded the specialist who attempted to combine others industries, who know well in technology and management, and the specialist who attempted to combine others technologies. But, late chaser demanded the specialist who attempted to combine others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