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Single Board 컴퓨터와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구조를 통해 다중 차량을 군집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에서 핵심이 되는 중계기의 회피 기동 판단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중계기는 이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받는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차선 위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회피 기동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시스템의 성능 실험은 차선 위에 장애물이 있는 상황에서 Wi-Fi를 통한 다중 차량과 중계기 서버 간에 TCP/IP로 회피 기동 판단을 위한 주행 데이터를 전송하고 차량들의 주행 상태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간섭이 있는 상황에서 초기에 구현했던 회피 기동 판단 알고리즘이 높은 실패 확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 회피 기동 판단 알고리즘에 데이터 변화 감지기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해결방법을 찾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SM 주파수 간섭 상황에서 개선 사항인 데이터 변화 감지기 적용이 시스템의 신뢰도에 주는 영향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기술을 적용하고 개선한다면, 차량 간 통신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을 통해 다중 충돌 사고와 같은 위기 상황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무인 운전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후 유사 시스템 구현에 대해 선행 연구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목적 : 착상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는 한국 여성의 자궁내막 조직과 정상적인 여성의 내막 조직을 비교하여 병인의 특성과 진단에 도움을 주는 면역 화학적 지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소견을 가진 20명(1군),자궁내막 유착증 5명(2군),자궁내막증 20명(3군)을 대상으로 배란일로부터 7-8일째 성선호르몬을 측정하였고 자궁내막세포를 채취하여 PR, integrin β3, COX-2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염색하였다. 결과 : 성호르몬 수용체는 PR의 발현이 2군에서는 1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3군에서는 증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Integrinβ3의 발현은 2군과 3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OX-2의 발현은 2군에서는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3군에서는 선상피세포에서의 발현이 다소 증가되고, 기질세포에서는 뚜렷이 증가되었다. 결론 : PR, Integrin 3, COX-2는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 유착증 환자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서로 다른 발현을 보임으로써 착상관련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