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5
제2장 아동수당 제도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함의 9
제1절 아동수당 제도 도입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11
제2절 아동수당의 역사적 개편과정: 독일의 사례 18
제3절 각국 아동수당의 제도적 다양성 32
제3장 아동수당 이해관계자 조사 결과와 함의 47
제1절 조사의 구조 49
제2절 아동수당 수급가구의 정책 반응 51
제3절 아동수당 담당공무원의 정책 반응 61
제4절 아동수당 발전방향에 대한 조사결과 분석 64
제4장 한국 아동수당 제도의 발전방안 모색 73
제1절 아동양육지원 체계의 구조 75
제2절 아동수당의 발전 방안 모색 78
제3절 아동수당과 보육서비스 84
제4절 아동수당과 출산정책 89
제5장 결 론 95
제1절 연구의 주요 결과 97
제2절 정책적 함의 98
참고문헌 101
부 록 105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8
제3절 지역 정신건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2
제2장 국내외 정신건강 데이터 현황 17
제1절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 데이터 현황 19
제2절 해외 지역사회 정신건강 데이터 현황 31
제3장 지역사회 정신건강 현황 51
제1절 지역의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 54
제2절 지역의 정신건강 수준 63
제3절 지역의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인프라 현황 102
제4절 지역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자 특성 133
제5절 지역의 정신건강 특성과 정신건강 수준 간 연관성 분석 145
제4장 클러스터링 분석에 따른 지역 유형화 157
제1절 지역사회 정신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유형화 연구 고찰 159
제2절 정신건강 관련 지역 클러스터링 분석 방법 161
제3절 지역 정신건강 현황 기반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165
제5장 지역사회 정신건강 예측모형 개발 187
제1절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추출 데이터베이스 개요 189
제2절 기초통계 197
제3절 예측모형 결과 207
제6장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개선 전략개발을 위한 제언 237
제1절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 239
제2절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개선 과제 251
참고문헌 255
부 록
부록 1. 지역(시군구) 정신건강 데이터베이스 포함 변수 259
부록 2. 모형별 클러스터별 시군구 현황 272
The development of electric circuit fabrication on heat and chemically sensitive polymer substrates has attracted significant interest as a pathway to low-cost or large-area electronics. Flexible electronics are the electronics on flexible substrates such as a plastic, fabric or paper, so that they can be folded or attached on any curved surfaces. They are current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nnovating future technolog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portable electronics. The conventional vacuum deposition and photolithographic patterning methods are well developed for inorganic microelectronics. However, flexible polymer substrates are generally chemically incompatible with resists, etchants and developers and high temperature processes used in conventional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Additionally, conventional processes are time consuming, very expensive and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fore, there are strong needs for new materials and a novel processing scheme to realize flexible electronics. This paper introduces current research trends for flexible electronics based on (a) nanoparticles, and (b) novel processing schemes: nanomaterial based direct laser patterning methods to remove any conventional vacuum deposition and photolithography processes. Among the several unique nanomaterial characteristics, dramatic melting temperature depression (Tm, 3㎚ particle~150℃) and strong light absorption can be exploited to reduce the processing temperature and to enhance the resolution. This open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a cost effective, low temperature, high resolu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 in the high performance flexible electronics fabrication area.
초소형전기기계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로 제작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장착한 MEMS 우주망원경은 특유의 광시야각 감시, 목표 확인, 확대 및 고속 추적 기능을 가지며 고층대기에서의 초대형 방전현상과 같이 넓은 영역에서 드물게 임의로 일어나는 섬광현상을 관측하기에 최적이다.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