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4
제2장 조사데이터 및 행정통계 관리체계 관련 정책 및 선행연구 검토 7
제1절 국가통계 관리체제 개편방안 9
제2절 선행연구 19
제3장 보건복지 분야 조사데이터 및 행정통계 관리・활용 실태조사 41
제1절 기초조사 및 실태조사 개요 43
제2절 분석 결과 52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11
제4장 해외 조사데이터 및 행정통계 관리정책 및 관리체계 구축 사례 115
제1절 EU 사회과학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사례: SERSCIDA 117
제2절 해외 정부 연구예산 지원기관의 데이터 관리정책 128
제3절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 134
제5장 보건복지 분야 조사데이터 및 행정통계 관리・지원체계 구축 141
제1절 관리・지원체계 구축 시 고려사항 143
제2절 보건복지 분야 조사데이터 및 행정통계 관리지원방안 147
참고문헌 169
부록 171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December, 2016.중앙과 지방정부 및 의료기관에 대한 감염병 관리체계 강화방안(Strengthening infectious disease control systems in government and healthcare institutions),Report,[세종, 한국]한국보건사회연구원,연구보고서(수시)/2016-07,149
요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5
제2절 연구 방법 6
제2장 국내외 정신건강증진체계 검토 9
제1절 국내 정신건강증진체계 고찰 11
제2절 외국의 정신건강증진체계 고찰 19
제3장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체계 현황 37
제1절 경기도 정신보건시설 및 인력 현황 39
제2절 경기도정신건강증진센터 현황 42
제3절 경기도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현황 48
제4절 경기도 정신보건사업 예산 현황 50
제4장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체계 실재주의적 진단 5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55
제2절 연구 방법 55
제3절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체계 실재주의적 진단 59
제4절 소결 88
제5장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체계 발전방안 91
제1절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체계 발전방안 93
제2절 소결 116
참고문헌 119
부록 121
부록 1. 경기도 정신건강증진센터 사업 123
부록 2. 기초센터 조사표 133
In this paper, a 2-degree-of-freedom (D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scanning micromirror array is fabricated, which has a large area mirror, a large actuation displacement and high fill factor. Each mirror is designed for independent actuation to two axis. The mirrror is designed as leverage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large actuation angle with electrostatic actuator. To achieve this, a vertical combdrive actuator is fabricated with leverage structure. The tilting angles are 9.87 ° and 9.76 ° for each axis at the voltage of 150 V. The high fill factor is accomplished by fabricating actuator under the mirror plate. The array is composed of 9 single mirrors with 3 by 3 matrices, of which the size is 1 ㎜ by 1 ㎜. The fill factor of mirror array is 84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에서 정신건강 지표에 대한 통계가 생산되고 있으나, 정책적인 성과를 평가하거나 정책과정을 합리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정책 선정 시 우리나라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정신건강 지표를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자료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및 운영체계를 제시하고 국내·외 정신건강 지표의 검토 작업을 통해 정책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핵심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청소년기의 정신건강 문제의 범위를 고찰하고, 정신건강 및 정신건강 증진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과 서비스의 범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신질환과 정신장애,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건강결정요인의 범위와 정신건강의 결정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책과 서비스의 범위를 고찰하였다. 둘째, 정책과 관련된 지표의 종류, 지표의 정의, 지표의 생산기관 등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정부의 각 부처별 정책과 인프라, 서비스전달체계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셋째, 세계보건기구와 OECD 등 주요 국제기구에서 생산하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지표 즉 정신건강의 범위, 정신건강 지원 정책의 우선순위와 범위 등을 고찰하고 관련된 지표를 분석하였다. 넷째, 정신건강 지표의 개발을 위해 앞서 선행연구로 진행된 수집한 정신건강 지표들의 중요도와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한 의견수렴의 과정으로 정신건강 전문가, 심리상담 전문가, 공무원, 실무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종합하여 선정된 주요 정신건강 지표와 관련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하여 정책자문회의를 거쳐 핵심지표를 선정하고, 핵심지표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통계적 서비스와 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