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산업 육성 정책의 성장 척도를 가늠하는 말 사육두수는 2015년 대비 786두(3.0%) 증가한 27,116두로 2015년에 이어 지속적인 성장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승용 10,766두(39.7%), 경주용 7,732두(28.5%), 번식용 4,494두(16.6%) 등으로 승용마의 사육두수가 점차 증가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은 계절번식을 하는 동물로써 말 의 비발정주기는 주로 겨울철로 알려져 있으나(Daels PF and Hughes JP, 1993; England GCW, 1996) 아직까지 말의 발정주기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고, 암말 의 번식양상은 다른 종(species)들과 차이가 있으며 가장 낮은 번식 효율성을 갖고 있다 (Ginther, 1992). 암말의 발정주기는 개체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공시축은 25두이며, 자궁경 검사는 자 연종부 한 말을 대상으로 질경 기구를 이용하여 임신여부를 확인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와 비정상적인 난소주기의 분석을 위해 난소주기형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 정의하였 으며, 난소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정상 적인 발정주기를 보이는 개체는 약 21일 주기로 호르몬의 변화를 보였으며, 비정상적인 발정주기를 보이는 개체에서는 40일 정도까지 발정이 지연되는 지연발정, 조기발정, 무발 정 등의 양상을 보였다. 총 21두의 공시마 중 13두(61.9%)만이 정상적인 난소주기를 보 였으며, 공시마 8두(38.1%)는 난소주기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소주기 지 연을 보인 공시마 중 2두(9.5%)는 황체기가 계속 이어지는 난소주기 지연 Ⅰ형, 1두(4.8%) 는 배란이 지연되는 난소주기 재개지연 Ⅱ형, 5두(23.8%)는 난소주기가 길어지는 난소주 기의 재개지연 Ⅲ형이었다. 암말의 배란을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검사 결과 우세난포 (40~50mm 이상) 관찰 후 6시간 이내에 11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9시간 이내에 2두, 24시간 까지는 총 21두(100%)에서 배란을 확인하였다. 정상적으로 계절번식을 하는 개체 에서는 약 150일 가량 발정이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월에 3두(16.7%), 11월 에 5두(27.8%), 12월에 5두(27.8%)가 발정이 정지되었으며, 나머지 5두(27.8%)에서는 겨 울철에도 발정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정이 정지된 개체는 이듬해 3월까 지 발정이 정지되어 있었으며, 비번식 계절에도 27.8%는 발정이 지속되었다. 18두 중 4 월에 11두(61.1%), 5월에 2두(11.1%)의 발정이 재귀되었다.
포유동물 수정란의 동결보존기술은 최근 기후 변화에 따른 생물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멸실 위험에 처한 동물의 개량과 증식, 보존과 복원 및 생명공학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응용 기술은 다양하게 이용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 수정란의 동결 후 생존성 향상을 위해서 동결 방법에 따른 체내 외수정한의 내동성을 조사하였다. 완만동결에 따른 체내 외수정란의 동결 융해 후 수정란의 재확장률은 89.6%와 81.5% 그리고 72시간 배양하였을 때 부화된 수정란은 76.9%와 43.4%, 생존수정란의 총세포수는 136 ${\pm}$ 3.6개와 107 ${\pm}$ 3.8개의 결과를 보여 동결 융해 후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정란의 부화율과 세포수 조사에서는 체내수정란이 유의적으로(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methods for cryopreserving in vivo and in vitro-produced bovine embryos. Morphology of post-thawed embryos was evaluated and normal embryos were used for successive culture for 72 h. In experiment I, In embryo vi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astocyst re-expansion rates were found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embryos(89.6% vs. 81.5%). whereas hatched-BL and total cell number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p ${\pm}$ 3.6 vs. 43.4%, 107 ${\pm}$ 3.8). In experiment 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astocyst re-expansion and Expansion-BL rates were found between in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methods (91.3% vs. 85.7% and 71.4% vs. 75.0%,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eld application for bovine embryo transfer is in part supported by improvements of technologies in embryo conventional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cryopreserv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verage (less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and high yielding (more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Holstein cattle at commercial dairy herds (n=22). Data on milk progesterone (10 to 60 days postpartum), days to post-partum estrous, days to post-partum conception, service per conception and calving interval were recorded for two consecutive years. Post-partum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days to reach peak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were similar in high and average yielding cows. High yielding cows took more days to show signs of first postpartum estrous than average yielding cows. Post-partum conception was 20 days earlier in average yielding cows than high yielding cows. Artificial insemination per conception was similar between average and high yielding cows. Calving interval was 26.9 days longer in high yielding cows compared to average yielding cows. In conclusion, better reproductive and feeding management may help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igh yielding dairy cattle in commercial dairy farms.
기후변화와 동반하여 국내 한우 사육에 있어 생리적, 환경적 변화로 무발정과 미약발정 현상이 잦아지고 있으며,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Roche 등, 2000; Lucy, 2001). 또한, 발정발현이 줄어들고 있으며, 배란지연 수태율 저하 등 번식에 있어 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Pankowski 등, 1995; Austin 등, 1999). 본 연구 는 한우 공란우의 이식가능한 수정란 수와 소의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혈장내 요소 태질소(BUN), Glucose 및 Cholesterol 수준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한우 55두에 대하여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4일째부터 성선자극호르몬(안토린) 28AU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하였다. 투여 3일째 CIDR를 제거하였으며, 동 시에 PGF2α 25 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공란우의 인공수정은 PGF2α 투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 하였으며, 1회 인공수정 전 GnRH 100 μg을 근육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7 8일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한우 공란우 55두 중 황체수가 10 이하와 10 이상인 공란우의 과 배란 처리하여 수정란을 회수한 결과, 10 이하와 10 이상인 공란우의 총 회수 된 난자수 는 각각 8.9개와 14.3개 였으며, 이식가능 수정란수는 황체수가 10 이하인 경우 4.8개, 10 이상인 경우 5.6개로 나타났다. Glucose 수준이 60 mg/dl 이하일 때 총 회수된 난자 수는 7.3개로써 60 70 mg/dl과 70 mg/dl 이상일 때보다 비해 적게 나타났다.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서도 60 70 mg/dl과 70 mg/dl 이상일 때에 비해 60 mg/dl 이하일 때 4.0± 1.3개로 5.9±1.9, 5.6±2.0개에 비해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holesterol 수준에 따라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olesterol 수준이 150 mg/dl 이하, 150 200 mg/dl 및 200 mg/dl 이상일 때 총 회수 난자 수는 11.5개, 12.2개 및 10.9개를 회수하였다. 또한,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5.1±1.7 개, 5.4±1.3개 및 5.2±1.9개를 나타냈다. BUN 수준이 <10, 11 18 및 ≥19 mg/dl일 때 이식가능 수정란 수는 각각 4.3±1.3, 5.8±1.8 및 4.7±2.1를 나타냈다. 공란우 55두 중 황 체수가 10 이하와 10 이상인 공란우의 과배란 처리하여 수정란을 회수한 결과, 10 이하 와 10 이상인 공란우의 총 회수 된 난자수는 각각 8.9개와 14.3개였으며, 이식가능 수정 란수는 황체수가 10 이하인 경우 4.8개, 10 이상인 경우 5.6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의 이상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1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Ⅰ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Ⅱ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를 가진 개체와 비교해 보면, 황체기가 연장된 소들의 분만 후 100일 이내의 인공수정 공시율, 수태율과 임신율은 더 낮고(각각 84.2 대 40.0%; p<0.01, 24.0 대 21.4%, 20.2 대 11.1%) 분만 후 첫 수정 일수와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2.79 대 105.7±7.48일; p<0.01, 105.1±7.16 대 133.7±11.17일). 정상우와 무배란우를 비교해 보면, 100일 이내의 수태율과 임신율이 낮고(각각 24.0 대 20.0%, 20.2 대 16.3%) 분만 후 첫 수정 일수과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2.79 대 72.6±4.45일, 105.1±7.16 대 120.8±12.33일). 결론적으로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인 난소 주기는 인공수정 공시율, 임신율, 첫 수정 일수와 공태 기간을 포함하는 번식 성적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1) and warm season grasses (C2)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he short type grass used as C2 was Bermudagrass.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four treatment groups: 1)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There was no winterkilling or lodging problem at an altitude of 200 m. Plant heights in mixed pasture of Treatment 1, 2, 3, and 4 were 53.9, 58.2, 57.5, and 78.1 cm,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4.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 Treatment 4 > Treatment 3 > Treatment 2 > Treatment 1.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70% and 66.7%, respectively. Overall, other grasses showed poor growth. In the second investigation of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80% and 60.7%,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value, and nutritive values were the lowest in Treatment 4, followed by those in Treatment 1, Treatment 2 and Treatment 3.
제1장 서론
1. 외국사회보장의 개요
2. 사회보장 비용
제2장 일본 사회보장제도
I. 서론
II. 사회보장의 일반정세
1. 사회보장의 배경
2.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
3. 고령화사회의 고용문제
4. 인구고령화와 사회보장비
III. 사회보장제도의 체계 및 최근동향
1. 사회보장제도의 체계와 범위
2. 소득보장의 체계와 내용
3. 의료보장의 체계와 내용
4. 공중위생 및 의료
5. 사회복지체계와 내용
6. 사회보장관련사업
IV. 사회보장제도의 과제와 전망
1. 소득보장
2. 의료보장
3. 사회복지서비스
4. 사회복지시설
5. 민간활력의 도입
6. 보건의료ㆍ복지인력
7. 실버산업
V. 결론 및 제언
제3장 미국 사회보장제도
I. 경제ㆍ사회ㆍ정치적 특성과 사회보장의 역사적 전개
II. 사회보장제도의 개요 및 최근 동향
1. 사회보장제도의 체계와 종류
2. 소득보장의 체계 및 내용
3. 의료보장체계 및 내용
4. 사회복지서비스 체계 및 내용 : 노인, 장애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III. 사회보장제도의 문제점과 개혁방향
1. 사회보험의 재정운영과 개혁방향
2. 인구의 노령화와 사회보험정책방향
3. 실업보험제도의 재정문제와 개혁방향
IV. 한국사회보장제도의 발전방향과 제언
1. 사회보장에 관한 기본법의 제정
2. 사회보장체계의 정비와 구축
3. 전달체계의 확립과 발전방향
4. 재원조달과 운용방안
5. 사회형평성 제고와 소득재분배 정책
6. 사회보장 연구기관의 강화와 통일적 기본자료의 발간
제4장 프랑스 사회보장제도
I. 서론
II. 프랑스 사회보장제도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1. 프랑스의 경제개황
2. 인구동향과 사회보장
3. 고용과 사회보장
III. 프랑스 사회보장의 최근동향
1. 사회보장의 체계
2. 소득보장의 체계와 내용
3. 의료보장제도
4. 사회복지 서비스의 체계와 내용
IV. 프랑스 사회보장의 문제와 당면과제
V. 한국사회보장의 방향과 과제
제5장 영국 사회보장제도
I. 일반정세
1. 비버리지의 사회구상과 변질
2. 영국의 사회보장의 성립과 전개
II. 사회보장제도의 체계 및 최근동향
1. 사회보장제도의 개관
2. 국민보험
3. 무갹출급여
4. 국민보건서비스
5. 사회복지서비스 : 노인, 장애인, 아동복지를 중심으로
6. 최근동향
III. 대처리즘과 혼합복지(Welfare Mix)
1. 대처리즘(Thatcherism)과 영국의 사회보장
2. 사회보장의 실태와 사회보장비의 추이
3. 영국사회보장의 문제점과 전망
4. 혼합복지(Welfare Mix)
IV. 영국의 사회보장개혁
1. 개혁의 동기와 목표
2. 연금개혁
3. 소득유지제도의 개혁
4. 개혁의 효과와 문제점
V. 종합 및 제언
1. 종합
2. 제언
제6장 독일 사회보장제도
I. 독일사회보장의 배경과 특색
1. 사회보장의 역사와 현대적과제
2. 경제사회와 복지재정
II. 사회보장제도의 현황과 과제
1. 연금제도
2. 의료보험과 의료제도
3. 실업보험
III. 사회복지서비스와 관련시책
1. 복지공급시스템과 공적부조제도
2. 가족정책과 아동ㆍ청소년대책
3. 노인복지와 개호문제
4. 장애자복지서비스
5. 주택정책
부록 : 공적연금모델
제7장 스웨덴 사회보장제도
1. 스웨덴 경제의 현황과 전망
2. 사회보장비용
3. 사회보장체계
4. 앞으로의 전망
제8장 국제기구의 사회보장 동향
I. EC(구주공동체)
1. EC 가맹국의 사회보장
2. EC의 사회보장정책
II.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1. OECD의 개요
2. 사회보장분야에 있어서의 OECD의 활동
III. ILO (국제노동기관)
1. 제76회 ILO 총회
2. 77회 ILO 총회
3. 항망분쟁과 ILO
IV. ISSA(국제사회보장협회)
1. 목적, 조직
2. 최근의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