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키 관리 시스템에서 계층적 구조를 지닌 다중 사용자 그룹에 대한 새로운 키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의사 랜덤치환에 의해 새성되는 트랩도어 일방향 치환을 이용하며, 구현시 시간과 공간적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완전순서 집합과 부분순서가 있는 집합으로 구성되는 다단계 계층적 구조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다른 제안 방식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하고, 제안 방식이 키생성 시간과 키저장 크기에서 보다 효율적인 것을 보인다.
현대사회, 문화 및 경제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주류 소비자들은 변화하고 있으며 주류시장에서의 브랜드 경쟁은 마케팅과 광고에서의 발전을 가져왔다. 또한 다양화, 고급화로 대비되는 현대소비의 양상은 주류소비문화에도 일종의 패션성을 부여했다. 여성층과 2030 젊은층 등 새로운 소비문화세대의 등장이 이러한 점을 가속화시켰으며 이들의 가치관은 취하기보다는 즐기는 주류소비문화를 탄생시켰다. 주류 시장에 있어서 마시는 방법의 변화와 멋의 중시는 광고를 통해서 다양한 시도로 나타날 것이며 광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장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소주광고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브랜드별 광고 포스터 이미지를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소주광고에서 주를 이루는 여성모델을 강조한 감성적 유형보다는 브랜드와 모델을 동시에 강조한 혼합형태의 광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사례에서는 모델 이미지만 강조한 경우, 남성모델에 비해 여성모델을 선호하면서도 섹스어필형의 광고보다는 깨끗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청순형의 광고 이미지를 더 선호하였다. 모델이미지 이외의 소재를 강조할 때에는 성분 및 브랜드보다 제품과 모델을 혼합한 형태의 광고 이미지를 선호하여 소구유형에서의 혼합소구 선호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주광고 이미지가 나아가야할 표현방식과 나아가 적절한 마케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소주광고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길 기대한다.
드론은 조종사가 직접 항공기에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조종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현재 드론은 실종자 수색과 교통단속 등 경찰장비로 포함되어 활용되고 있다.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수색하는 과정을 광학 성능이 뛰어난 카메라가 대신하며, 비행하며 촬영했던 영상을 이후 재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법기관에서 규정과 원칙 없이 무분별하게 드론을 운용하여 범죄수사와 수색에 사용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개인은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 침해를 당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행 드론 운용에 대한 법적 문제와 이의 해결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역학계를 해석하는 방법들 중의 한가지인 다차원 셀룰라 오토마티에 기초한 난수열 발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난수열 발생 시스템은 키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며, 키를 사용하는 경우 키의 크기는 128bits에서 256bits까지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제안된 난수열 발생 시스템의 수행속도는 Pentium MMX 200㎒ (64M RAM, Windows 98) 환경에서 약 380Mbits/sec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