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접근제어 기술은 블론체인의 다양한 활용 사례 중 하나로 많은 분야에서 중개인 없이 사용자 간의 소유권 이전·관리를 투명하게 수행하고자 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투명성, 비가역성 그리고 분산의 특징은 기존의 접근제어 기술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장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현재 블록체인이 직면한 여러 보안 문제로 인해 기술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른 활용 사례에 대한 안전성 문제 역시 다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접근제어 기술의 개요와 함께 직면한 여러 보안 문제 중 대표적인 문제에 대한 분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들에 대해 분석한다. 더 나아가 트릴레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솔루션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접근제어 기술의 모델을 제시한다.
리미티드에디션으로 출시되는 제품들은 대량생산되어왔던 제품에 고급화와 희소가치를 부여하고,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을 이용하는 것을 넘어서 소장하고 수집하는 행위를 유도한다. 리미티드에디션의 패키지디자인 유형에 따른 선호도 조사와, 디자인 유형별로 단순히 품질을 넘어 제품이 주는 가치, 구매의도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에 필요한 제품 선정을 통해 20대 여성의 디자인 유형별로 선호도와, 제품가치, 구매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리미티디드에디션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로 선호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플패키지형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키치이미지 활용형, 원색패턴형이 높았다. 둘째, 리미티드에디션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 선호도에 따른 소비자가 가지는 제품가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 유형별 가치 차이는 심플패키지형은 소비자에게 과시적가치와 품질가치를 키치이미지 활용형의 패키지는 확장된 자아가치, 원색패턴형은 희소가치를 이끌어 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직업별 선호도 유형별 가치 태도 차이를 살펴보면 원색패턴형을 선호하는 직장인의 경우 과시적가치와 희소가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플패키지를 선호하는 대학생의 경우 품질가치가 높게, 원색패턴형을 선호하는 직업군 기타는 확장된 자아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월 수입별 선호도 유형별 가치태도차이를 살펴보면 심플패키지를 선호하는 50만원 이하의 경우 과시적가치가 높게, 원색패키지를 선호하는 100-200이하의 경우 과시적가치가 높게, 키치이미지 활용형을 선호하는 200-300이하의 경우 과시적 가치가 높게 나와 과시적 가치의 경우 소득과 선호도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소비자 구매의도는 리미티드에디션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 선호도에 관계없이 26세에서 29세 사이가 높은 구매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미티드에디션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디자인 유형을 알아보고, 소비자가의 태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리미티드에디션으로 출시되는 화장품소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소비자를 구매로 유도하기 위해 리미티드에디션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시대가 격동기를 겪고 변화하면서 인간과 같이 도시의 영역도 인식의 변화가 발생되면서 도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건축과 환경은 인간의 필수적인 요소로 환경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건축의 범주에 속해있는 도시벽화는 인간의 정서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도시환경인 조화나 도움을 주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점을 내포하는 서울시 도시벽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본 연구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3단계로 나누어지며 대표 도심지역인 서울시를 대분류로 정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2012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중 서울시 주요 방문 지역 10곳 중 중분류인 유동인구가 많고 대중적인 주요관광지나 주택가 지역인 명동, 동대문, 삼청동, 이태원, 신촌 다섯 개 선정지역을 통해 소분류인 지역 속의 있는 벽화를 살펴보고 주제별 유형에 따라 분류작업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연령대별로 실시하여 관람자의 선호유형 등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벽화 작업 시행 시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가 골재의 입형이며, 구형의 골재일수록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는 불규칙한 강모래에 비하여 구형 입자를 많이 혼입하고 있지만, 그 정량적인 구형율의 값과 이에 의한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를 않다. 본 연구에서는 RCEFS의 정량적인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형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RCEFS의 구형율은 골재크기 2.5mm에서는 0.81이고, 골재크기 1.25∼0.15mm에서는 0.9이상을 보여 KS F 4571의 규정을 훨씬 상회하는 매우 우수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율성지지와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 317명을 비확률 표집방법의 목적적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시행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지지가 그릿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은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릿은 자율성지지와 경기력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지도자들이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데 있어 자율적 환경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계획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