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현재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에 대한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5월 8일부터 5월 18일까지 부산 및 창원지역의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척수 손상과 뇌졸중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 기기는 척수손상(76.2%)과 뇌졸중(72.5%) 환자 모두 휠체어 및 이동기기를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만족도는 척수손상(3.32점)과 뇌졸중(3.48점) 모두 효과성에서는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항목에서는 두 그룹에서 차이를 보였다. 보조공학 서비스는 척수손상 환자에서는 34명(39.4%)으로 보조기구 수리서비스를, 뇌졸중 환자에서는 8명(28.2%)으로 보조기구 적용 및 훈련을 가장 많이 이용하 였다. 이에 대한 만족도는 전문가서비스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보조공학에 대한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보다 나은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 others. Methods:A survey was conducted on 135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s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 others, the self-esteem scale and Korean-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EQ) scale were employed.Results: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item of self-esteem and empathy depending on gender, were shown, a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depending on wage. In addition, self-esteem and empathy bo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Conclusion:Occupational therapists with high self-esteem showed a high understanding of, and empathy toward, other people. Empath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 therapi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proper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arouses the motivation of clients.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클러스트화한 메시지 전송 기반의 병렬 멀티미디어 파일 시스템(PMFS: Parallel Multimedia File System)을 제안하고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한 PMFS는 이식성, 유연성 그리고 확장성을 고려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는 병렬 파일 시스템으로 2계층 분산 클러스트 구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어 메시지와 TCP를 기반으로 서버들간에 통신을 하고 다양한 방법의 데이터 배치 기법을 제공한다. PMFS의 성능 평가 결과 데이터들이 임의 시작 블록과 DIS 배치 기법으로 저장된 경우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제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편찬된 중학교 검인정 2학년 과학 교과서 8종 8권 중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 중 `광합성과 호흡`영역에 대한 내용과 실험을 보완하고자 그림, 용어, 내용 및 오개념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별로 그림, 용어, 오개념 그리고 내용 부분에서 수정이 요구되는 부문이 적게는 5개(G 교과서)에서 많게는 10개(A 교과서)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보면 그림(22개)과 관련된 것이 제일 많았으며, 용어에 관한 것(17개), 내용에 관련된 것(14개) 그리고 오개념에 관련된 것(5개)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림과 관련된 개선점을 교과서별로 분석해 보면 30%(D 교과서, 10개 중 3개)에서 50%(A과 E 교과서)까지 조사되었다. D 교과서는 그림의 수(10개)가 가장 많으면서도 문제점(3개)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E 교과서는 그림의 수(4개)가 가장 적으면서도 그중 절반(2개)이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hardware for motion estimation using a new method of SAD arithmetic. The proposed hardware is based on FBGA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which has regular structure. It has several advantages; 1) regular VLSI architecture, 2) 100% hardware utilization for ME operation, 4) easy control of performance and hardware size, and 5) expandable cell-based architecture. From the proposed hardware, we implemented a processor for ME.
치과용 복합레진은 bis GMA형의 monomer가 개발되고, 무기 filler가 첨가되어 물리적인 성질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또한 법랑질에 대한 산부식법을 통하여 치아에 대한 결합력을 높을 수 있는 방법이 도입되면서 치과용 수복물로서 각광을 받아 왔다. 특히 복합레진은 이전까지 이용되었던 silicate cement 이나 acrylic resin에 비하여 변색이 적고, 원래의 형태를 비교적 잘 유지하는 장점을 가져서 전치부의 수복에 유용한 재료로 인식되었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전치부의 수복은 비교적 적은 치질의 삭제만으로도 가능하고,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서 올바른 술식을 통하여 적절히 이용한다면 좋은 임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재료학적인 한계가 아직 까지는 엄연히 존재한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전치부의 수복에 있어서, 복합레진의 문제점과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 임상시의 주의점 등에 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논문은 고용창출 기여도를 고려한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s)개념을 중소기업 정책금융에 도입함으로써, 국내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최근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심화에 따른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기업간 성과 배분에 집중한 나머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토대로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홉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 문제가 투자여럭 감소와 만성적인 인력난을 가중시켜 대·중소기업간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과 더불어 사회적 기여도를 반영하여 중소기업금융의 시장실패를 극복하려는 시도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용창출을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변수로 고려하는 중소기업 정책금융을 도입함으로써, 대·중소기업의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우선 미국 중소기업 청의 SBIC(Small Business Investment Company)를 벤치마킹하여 고용창출을 고려한 민간금융투자자에 대해 정책금융 레버리지(Leverage)를 지원함으로써 1차적으로 중소기업 대출시장의 투자수익성을 제고하고, 점차 고용창 출권에 대한 할당제도와 거래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금융접근성 문제를 시장경제의 영역에서 개선하도록 유 도한다. 이를 퉁해 민간이 주도하는 고용칭출 투자 메커니즘이 구축되면 중소기입은 우수인력 유입과 두사여릭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문제를 개선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정부 또한 중소기업의 정책금융 의존도를 낮춰 재정지출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