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3 축 영상 장치를 기존의 2 축 경계 로봇에 적용하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동형 경계 로봇의 영상 정보를 이용한 목표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목표 추적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목표추적 알고리즘에서는 카메라 영상의 중심과 카메라 영상으로 포착된 목표물 중심 사이의 위치 에러를 이용하여 영상 장치의 목표 지향 벡터를 획득하고, 역기구학을 이용하여 획득한 목표 지향 벡터를 생성해 낼 수 있는 기동형 경계 로봇의 팬, 틸트 회전 요구 각도와 카메라 영상의 안정화를 위한 롤 회전 요구각도를 계산하였다. MATLAB 과 ADAMS 를 이용하여 기동형 경계 로봇의 가상 모델을 생성하고, 가상의 목표물의 움직임에 대한 가상 모델의 운동을 확인하여 영상 기반의 목표 추적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문·무과 합격자에게는 ``홍패``라는 문서를, 생원·진사시 합격자에게는 ``백패``라는 문서를 발급하는 제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는 엄밀히 말해 경국대전 체제가 마련된 이후에 시행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고문서 형태로 전하고 있는 홍패와 백패 가운데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발급된 문서를 대상으로 경국대전 체제가 성립되기까지의 홍패·백패의 발급 제도와 문서 양식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려말에는 예부시 합격자에게 ``王命准賜``라는 문구로 시작한 홍패를 발급하였다. 이 홍패는 관사에서 왕명을 받들어 官印을 찍어 발급한 것이고, 해당 문서에는 시험을 관장한 지공거와 동지공거의 서명이 기재되었다. 이에 반해 조선초에는 문·무과 합격자에게 ``王旨`` 또는 ``敎旨``라는 문구로 시작한 홍패를 발급하였고, 고려말의 홍패와는 달리 왕명을 직접적으로 기재하여 寶印을 찍어 발급하였다. 문서 양식으로 볼 때 조선초의 홍패가 고려말의 홍패에 비해 격상된 형태를 갖춘 것이다. 백패 발급제도는 조선초에 제도화되었다. 조선에 들어와 생원·진사시 제도가 정립되었고, 1438년(세종20)에 이르러 생원·진사시 합격자에게도 문서를 발급해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문서 양식은 이때에 마련된 형태가 경국대전에까지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여말선초의 홍패와 백패는 문서 양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당시의 제도와 정치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의 선거 보도가 1992년 이후 2012년까지 다섯 차례의 대통령 선거에 걸쳐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시기별, 매체별로 비교분석했다. 이 분야의 선행 연구들이 특정 시기 보도의 분석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이 연구에서는 민주화 이후 20년 동안 선거 보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통시적으로 분석했다. 투명 취재원 수, 이해당사자 수, 관점 제시 양태 등을 기준으로 기사 품질의 변천을 살펴봤더니, 최근에 이를수록 고급기사의 비중이 급락했다. 특히 복합적 관점의 기사가 현저히 줄어들고 단일 관점의 기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사 품질의 하락과 함께 신문의 정파성이 예전보다 더 강해졌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기사 유형 등을 통해 심층성을 분석한 결과, 발생사건 중심의 ‘이벤트 기사’ 비중이 여전히 압도적으로 높았다. 기사의 프레임과 취재원 유형을 통해 기사의 공공성을 분석한 결과, 대결 및 갈등을 강조하는 ‘전략 프레임’의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이 발견됐고, 후보자를 비롯한 엘리트 취재원을 직접 인용하는 빈도도 대단히 높았다. 기사의 공공성과 심층성 차원에서 나타나는 이런 양상은 시기별, 매체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내 신문의 선거보도에 강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정파성을 덜어내고 높은 품질의 고급 기사 보도가 절실하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과제는 유망상품인 발전용 MCFC 모듈형 BOP 중 가습기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물 Mixing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습기 내부에서 공급된 연료-물은 연료전지 스택(Stack)으로부터 가습기로 유입된 고온의 가스로부터 열을 공급 받아 증발 및 혼합과정을 거치게 되며, 스팀-연료 혼합기로 형성되어 개질기(reformer)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물과 연료의 공급 상태에 따라 균일한 스팀-연료 혼합기가 형성되는지가 결정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온의 가습기 내부의 국부적 온도분포의 큰 차이를 발생시켜 용접부의 균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가습기의 설계와 함께 중요한 장치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습기에 적용이 가능한 Mixer 모델을 설정하고, Analytic calculation을 통한 노즐설계와 1pass/Full scale 성능 실험 장치를 통해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되었으며, 특히 노즐별 유량분배 변동율은 {pm}3% 이내로 달성하고, 스팀/연료 공급 비율은 2:1 이내로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개발 완료 시 다양한 가습기에 직접 장착하여 운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실용화에 중점을 두고, 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려된다.
상담의 효과는 상담자 자신의 건강한 심리적 상태가 유지될 때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상담 실무자들이(N=115)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의 정도가 어느 정도이며,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는데 기여하는 요인과 줄이는데 기여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 상담자들이 주로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의 유형은 정서적 고갈이었으며, 반면 개인적인 성취수준이 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상담환경의 위험요소들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상담환경에서 상담자들이 역할갈등과 도전감의 상실을 경험할 때 심리적 소진의 정도가 의미있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동료 및 가족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할 때 소진은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서구연구 결과와 달리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상담자 소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점들이 지적되었으며, 상담자들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자들의 자기관리를 도울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In order to formulate the compounded polypropylene(C-PP) which is suitable to an automotive door trim panel, 9 sorts of properties were measured after manufacturing the C-PP using an extruder and an injection machine with polypropylene(PP), ethylene-octene rubber(EOR) and talc. Mixture design, especially extreme vertices design, in DOE with MINITAB - commercial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lations between each property and each component, for example, y=0.00907222x₁+0.00870556x₂+0.0155722x₃ for specific gravity, were found out by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variance analysis. The optimized formulation of the C-PP for an automotive door trim panel was acquired at PP(77.6962), EOR(11.0238) and talc(10.2800) by use of the response optimizer(mixture) in MINITAB.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이상 패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전략적이고 민첩한 의사결정을 가능토록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마케팅 활동을 전사적으로 일괄 관리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 발생하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외부효과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이상 패턴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실험과 실제 유통 판매 데이터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기법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A fuel cell is most interesting new power source because it solves not only the environment problem but also natural resource exhaustion problem. In this paper, hydrogen gas flow in micro-channel was numerically analyzed about various channel shap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icro fuel cell. Flow characteristics with the same boundary condition were simulated in six different shapes of micro-channels which have been already developed and newly designed as well.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flow such as velocity, uniformity, and flow rate, depend highly upon the channel shape itself. That means it is expecta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icro fuel cell through optimal configuration of channel shape for hydrogen gas flow. Finally, actual micro flow channels were fabricated using SU-8 and the performance of PEM fuel cell was also carried out with these micro proto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