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UNESCO의 교육 2030에서 공동 지표로 채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이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실과 교과서에 어떻게 내용으로 제시되 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를 분석 준거로 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성 분석법으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30개의 성취기준 중 10개의 성취기준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요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관련 내용요소는 다양성, 정체성, 환경에 대한 관심, 차이와 다양성 존중, 협력과 문제 해결, 적극적 참여와 실천이다. 분석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는 5학년 6권, 6학년 6권으로 총 12권이다. 나의 성장과 발달 단원은 다양성, 자아정체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인간과 공동체의 영향과 가정생활문화와 안전 단 원은 다양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환경에 대한 관심, 인간과 공동체와의 연결과 영향, 적극적 참 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다. 자립과 생활관리 단원은 지속가능발전, 환경에 대한 관심, 비판적 사고, 윤리적 책임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 탐구성 분석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영역은 0.23으로 나타나 비 탐구적인 성 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판적 사고, 윤리적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등의 역량을 함 양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교과서 서술 방식이기에 차기 교과서 개발에는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실과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되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실천적 교육 방법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 연구는 실과 식생활 영역의 지식적 측면의 향상과 바른 식습관의 정착 및 스스로 평가하고 구성하는 배려있는 식생활 태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주제중심 통합형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이를 실행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기초조사, 개발, 실행, 평가의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기초조사 단계에서는 주제중심통합형 식생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 교육과정 분 석, 교과서 분석, 학생의 요구조사 등을 통해 주제를 추출하고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추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주제망을 구성한 후 각 주제망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 는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부산지역 A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행해 보았 다. 평가 단계에서는 1차 학생들에 의한 수업평가와 2차 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한 후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이 때, 수업 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논의를 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높였다. 이 연구의 핵심인 주제중심 통합형 식생활 프로그램은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미각교육과 간식』, 『나와 가족의 식사』, 『배려와 감사의 식생활』, 『미래의 식생활』5개의 주제가 선정되 었고, 각 주제별로 3~4차시로 구성하여 총 17차시 분량이다. 프로그램은 교과 내 영역 통합과 타 교과의 학문적 통합을 함께 고려하여 수업 진행 과정에서 배려, 나눔의 인성요소를 배치하고 미래 식 생활에 대한 열린 창의성, 현재 식생활 문제에 대한 실천적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실제 17차시 수업을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에 각 주제의 총괄목표와 세부목표, 통합교육 의 목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교과의 내용적인 통합 요소와 학습방법면의 통합요소, 비판적 요 소, 인성적인 요소를 각 각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실과는 우리의 생활과 관련이 밀접해 생활 속 주제 로 통합형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이론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교과에서 개발하기에 한계가 있 는 창의성 요소, 인성 요소까지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교육할 수 있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다. 본 연구로 개발된 주제 중심 통합형 식생활 프로그램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새롭게 실시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울러 이를 다양한 현장에 적용한 후 학습자 의 융합적 능력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1945년 패전과 함께 약 7년간 실시된 미군정의 점령정책 하에서도 전전 일본의 사상적 원류였던 국가주의 편향의식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고, 보수우위 사상적 편향의식이 일본의 전통적 가치관과 민족의식을 회복하려는 일련의 보수우위세력에게 끊임없는 응집력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는 패전 이후에도 살아남은 전전의 구세력이 전후 일본의 정치를 장악해 왔다는 역사적 사실이 숨겨져 있다. 즉 천황에게 전쟁책임을 묻지 않은 사실이 구세력의 온존과 재생, 그리고 부활의 발판으로 이어진 것이다. 패전으로 인해 육군 주전파를 핵으로 하는 군부 권력은 사라졌으나, 그 외에 권력은 천황의 ‘성단’에 의해 보호되었으며, 살아남은 전전 권력은 ‘성단’에 의해 새로운 옷을 걸치고 전후 보수 권력으로 재생되어 전후 일본의 정치를 장악해 왔다. 이처럼 전후 보수 자체가 천황의 ‘성단’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측면이 농후한 이상, 천황의 전쟁책임 및 가해책임을 묻는 것은 원래가 불가능한 것이며, 전후 보수 권력이 형식적인 문언 및 행동과는 별도로, 일관되게 전쟁책임 및 가해책임을 근본적으로 계속 거부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중언어강사를 목표로 한국 어를 배우는 이중언어 사용자들 중 여성 결혼 이민자의 쓰기 분석을 통해 한국어 쓰 기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 나타나는 문장 수, 평균 형태 소 길이, 어절 수, 문장 당 어절 수, 문법 오류 유형 및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총 584 개의 문장에서 평균 25.78의 평균형태소길이(MLU-m)가 나타났고, 430개의 문법 오 류가 나타났다. 총 어절 수는 5753개로 평균 159.81개의 사용되었으며, 문장 당 어절 수는 평균 10.52개였다. 전체 문법 오류 가운데 조사 오류는 382개, 89.07%로 가장 높 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형태, 사동·피동, 시제, 경어표현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이 마 련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의생활 단원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12종과 7차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정생활문화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전통문화', '한복의 변천사', '한복의 색채', '한복의 문양과 소재', '한복의 세계화' 5개의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주제에 대해,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 및 48종의 수업자료(학생자료 22개, 수업자료 22개, 교사 자료 4개)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청소년들의 전통의생활 문화에 대한 인식도는 사전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교수 학습 과정안이 전통 의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외래문화에 대한 수용, 전통 문화에 대한 긍정적 자세 등 전통 문화 인식 고취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전통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의생활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더 다양한 전통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뿐 아니라 식생활, 주생활 분야에도 전통문화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고 적용되는 등 다양한 전통문화 계승 교육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to clothing life chapters. We analyzed 12 types of high school freshman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selected 5 major subjects of learn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y of Han-bok', 'colors of Han-bok', 'pattern & material of Han-bok', 'globalization of Han-bok' related to 'change of home life & culture' chapter. Also we developed 5-perio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nd 48-teaching materials(22 for students, 22 - for classes, 4 for teachers)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re-test. We concluded it was highly efficient in th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s right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life cultur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positive attitude i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educ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so we recognize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rough it. We suggest that various themes on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reinforced. Also we need various traditional culture succession research as field of food life, house life and study Korea's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to find out actual condition of use of landscaping tree with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predict hopeful species of trees hereafter and improve species of trees in farm of landscaping tree and its production and management, and result of this study is: 1. Since 1998, Pinus densiflora and Taxus cuspidata with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have changed their standard into a large size tree gradually, and changes in 2008 are tending to expand to a large size standard and various species of trees. 2. From 1998 to 2008, changes in species of indeciduous forest tree do not show any big difference, but at the case of deciduous shrub, changes were about 1.5 times from 1998 to 2003 and double 2 times in 2008. Also at the case of deciduous shrub, it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1998 to 2003, but it expanded, in 2008, into species of trees which are about double almost. 3. Development of farm began from 1983, and indeciduous forest tree is 16%, 3 species except Pinus densiflora, and indeciduous shrub is 12%, 2 species except Euonymus japonica, and deciduous forest tree is 64%, 15 species except Zelkova serrata, and deciduous shrub shows 8% of component ratio, 1 species except Syringa dilatata, and it contains species of deciduous trees the most. 4. For improvement plan of the farm, it should try to find plan to decrease gradually holding quantity of Pinus densiflora, Pinus parviflora and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etc. which took lots of maintenance expanses. Also it is desirable for Zinnia elegans which demand increases continually and management does not need too much and for Chionanthus retusa which is a native species of trees to upkeep present complex. 5. Hereafter the farm is desirable to upkeep Zelkova serrata and Chionanthus retusa complex which has continuous demand, and to improve to species of trees which can be prepared against global warming like improved species of trees, thorn etc. Especially it can reduce management expanses through species improvement of farm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 and expansion of marketing can establish and manage homepage as a continuous public relation plan of farm.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를 분석하여 초등 학교 실과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현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의 내용을 비교하고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의 타당도는 CVR 지수 0.93으로 충분히 타당하다고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 내용과 관련된 SDGs 목표는 17개 목표 중 11개, 169개 세부목 표 중 23개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에서 SDGs 주제별 관련된 가정생활 영역은 환경적 관점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적 관점이 14개, 빈곤과 기아종식이 3개, 경제적 관점이 3개였다. 셋째, SDGs 세부목표 중 양성평등은 5학년, 6학년 모든 실과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깨끗한 물과 위생,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경우도 대부분 제시되어 있다. 반면, 불평등 감소, 기후변화와 대응, 산업·혁신·사회기반 시설,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목표의 경우 지속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함 에도 불구하고 5학년에만 제시되고, 6학년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