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안전보장정책에 대한 연구는 `평화지향`적이거나 `대미의존`적인 관점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추구하는 등 매우 의욕적인 외교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의 안보 전략이 미일 간의 강력한 요구와 이해를 넘은, 다분히 일본 정책결정자들의 전략적 이해에 따른 의도적 결과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미일안보조약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일본의 군비확장의 과정이 결코 `소극적`이거나 `대미의존`적이라고만 할 수 없는 측면에서 재고하고 있다.
강화교섭을 둘러싼 최대의 문제는 독립 후 일본의 안전보장을 어떻게 하는가에 있었으며, 요시다는 일본 재군비는 거절한다는 방침을 견지하면서도 경찰예비대 창설 등 국내 치안을 명분으로 한 점진적인 군비확장을 꾀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화조약의 조정을 위한 미일 간의 본격적인 교섭이 시작되자, 요시다는 5만의 보안대 창설을 제안하는 등 미국의 재군비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조기강화를 실현시키고자 하였으며, 5만 명의 보안대야말로 장래 민주적 군대로서 훌륭하게 육성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요시다가 재군비의 필요성을 주장한 사실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급진적이든 점진적이든 요시다는 재군비에 동의하는 형식을 취하며 강화조약과 안보조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바꿔 말하자면 강화문제와 기지문제가 재군비라는 단 하나의 행위로 모두 해결된 것을 의미한다. 즉 일본 재군비는 요시다 자신의 생각과 반드시 위배되는 것만은 아니었으며, 군대를 보유하기 위해서 먼저 경제적인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는 요시다의 생각은 결국 동전의 양면과 같은 논리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일본의 경제부흥과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우려를 근거로 내세운 요시다의 무군비 주장은 이 모든 정치적 전략을 봉인하기에 아주 적합한 수단이었다.
연구목적: 이번 연구는 접종취약 계층별 우리나라 아동 예방접종 미접종 사유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질병관리본부에서 통합, 관리 중인 일반적 미접종자(1,669명의 16,383건) 및 사회적 취약계층 데이터베이스(371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수집한 텍스트 자료(60건)를 사용하여 미접종 사유의 빈도 및 퍼센트를 산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으로 미접종과 관련하여 높은 빈도로 언급된 핵심 단어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아동에서 미접종의 주요 원인으로 ‘해외 거주’가 55.1%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접종 거부가 26.4%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취약계층에서의 미접종 사유로는 ‘연락두절’, ‘건강상의 이유로 접종지연’, ‘해외거주’, ‘출국’ 순으로 높았다.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한 키워드 분석에서는 ‘아토피’, ‘피로’, ‘알레르기’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감기’, ‘페렴 구균’, ‘수두’ 등 질병과 관련된 단어가 많이 언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자료에서는 ‘백신’, ‘바이러스’, ‘부작용’ 등의 단어가 접종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으로 많이 언급되었다.
결론: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아동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해서는 표적 미접종 집단별 맞춤형 중재 전략이 필요하며, 각 계층에서 예방접종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진단하고, 개인 수준에서 신념 및 행동 변화를 가져올 근거 기반의 다수준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sianism that appeared in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as the means to yield ‘power’ in the process to contest the West, for integration of Asia, and to establish self-identity. The justification of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 superpowers was also the Asianism,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sianism were in double-sidedness that Japan was regarded as a member of the West or a member of Asia. Namely, Japan was showing twofold features to vent ‘contempt’ for and ‘solidarity’ with Asia at the same time shuttling between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Beyond Asia’ meant that Japan needed to get out of the influence of the uncivilized Asian countries that affected Japan and it wanted to be in the same boat with the Western civilized country, and it was so called ‘Beyond Asia and Entry to Europe’. On the other hand, ‘Entry to Asia’ meant while leaving the identity of Japan in Asia, the Asian countries should have cooperated and banded together with each other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 in order to resist the Western Powers. However, in spite of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e point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y started from the common motives to resist and overcome the West. Second,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looking for the spatial oneness of the region in the elements of civiliz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were in the spaces of the different civilizations. Third,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cognizing that hierarchical order with Japan at the top was the alternative regional order in Asia. In this aspect,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the space that constituted the two sides of the same action which are complementary and not opposite to each other, and it was packed with the name of Asianism. Like the above, the modern Japan was shuttling between the spaces where it could selectively take ‘Beyond Japan’ and ‘Entry to Asia’ that were Asianism and while granting motives to their foreign actions they were getting soaked with the blind idea that they were a superior nation born with the destiny to govern Asia.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 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We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style(Korean cu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contents related to Han Style. We selected 5 major fields representing Han Style including Han-gul(Korean alphabet). Han-sik(Korean food).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es).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and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6 types of high school tes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hose seven traditional clothing-lifestyle culture contents. Also we developed 14-period processes and materials(9 for teachers. 9 for students and 3 for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 Styl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pre-test. Students evaluated it positively that the classes could raise the pride on the Han-culture and provoke the interest in it through the direct experiencing activities. We suggest that the various themes on Han-style should be developed, and the theoretical classes on the identity as well as the experiencing activities on it.】
현재 전 세계는 정보화 세계화의 사회로 개방, 협력,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은 곧 창의적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개인적인 욕망과 성취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이 아니라 나누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인류학적 가치를...
일본 보수세력 내에서는 헌법 제9조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의가 존재했으며, 그것은 헌법 제9조가 자위를 위한 전쟁까지 부정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었다. 누구보다 미국과의 `협조`를 중시한 요시다 시게루(吉田茂)는 헌법 제9조가 자위를 위한 전쟁까지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반면, 대미자주 노선의 대표적인정치가로 꼽을 수 있는 하토야마 이치로(鳩山一郎)와 아시다 히토시(芦田均) 등은 자위권이 합헌이라고 주장하였다. 헌법 제9조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위권에 관한 논의가 가능하게 된 배경에는 헌법 제9조 제정 당시의 `아시다 수정`에 기인하는 바가 크며, 적어도 전쟁의 완전한 포기를 강요했던 미국 측의 요구에 헌법 제9조에 대한 해석의 모호함으로 대응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아시다 수정`은 `자주외교의 대한 희구`로부터 동기화 되어진 측면이 크다. 그러나 냉전의 심화에 따른 미국의 대일정책은 일본의 재군비 요구로 이어졌으며, 줄곧 자위대가 `유해무익`하다고 주장해왔던 요시다는 기존의 자신의 입장을 바꾸어 자위권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요시다의 외교적 선택이었던 1951년 9월에 체결한 미일안보조약은 헌법과 미일안보관계 속에서 결정적인 자기모순을 내포하는 것이었으며, 이것이 헌법해석을 둘러싼 보수세력간의 논쟁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보수세력 내 이념적 대립에도 불구하고 아시다의 `의도`는 미일안보조약이라는 형태로 요시다에 의해 달성되어졌으며, 그리고 그것이 헌법 제9조에 대한 유연한 해석으로 인해 가능했다는 점에서 볼 때, 대미 `협조`와 `자주`가반드시 상호배타적인 것만은 아니며, 오히려 상호보완적으로 전후 일본의 안전보장문제를 규정하고 있는 측면도 존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