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Korea Aptitude Development(KAD) 인성검사는 학과에서 학생의 인성과 직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사회적성개발원에 단체로 의뢰하여 2008년 4월 30일에 실시되었다. KAD 인성검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연 구에 동의한 50명을 대상으로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AASP)을 실시하였다. AASP는 대상자에게 질문지를 나눠주고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이 완성되면 바로 수거하였다. 설문은 총 15분 소요되었다. 분 석에는 AASP와 KAD 인성검사를 모두 실시한 5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성인의 AASP 유 형을 알아보았고, 성별에 따른 AASP 유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AASP 유형과 KAD 인성검 사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AASP 유형과 KAD 인성검사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감각 등록 저하는 감정(r=-.32)과 정서(r=- .34)와 상관성이 있었고(p<.05), 감각 찾기와 감각 민감성은 지도력과 각각 r 값이 .31, -.34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성발달에 감각 처리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 로는 감각 처리 능력에 문제를 가진 성인이나 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감각 통합 치료 적용에 따른 대처 기술,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pper is a well known alloying element that is used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general corrosion of stainless steel . And also Cu cation have the anti-fouling effect to inhibit adhesion of the marine algae and shellfish to the surface of heat exchanger cooling pipe or outside wall of the ship. Therefore there are some anti-fouling methods such as anti-fouling paint mixed with copper oxide or MGPS(Marine Growth Preventing System) by using Cu cation dissolved to the sea wather solution. Cu cation can be dissolved spontaneously by galvanic current due to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Cu and cooling pipe of heat exchanger with Ti material, which may be one of the anti-fouling design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nnealing heat treatment to galvanic current and polariza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with a electrochemical points of view such as measurement of corrosion potential, anodic polarization curve, cyclic voltammetric curve, galvanic current etc. The grain size of the surface in annealed at 700℃ was the smallest than that of other annealing temperatures, and also the corrosion potential showed more positive potential than other annealing temperatures. The galvanic current between Ti and Cu with annealed at 700℃ was the largest value in the case of static condition. However its value in the case of flow condition was the smallest than the other temperatur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anti-fouling effect by Cu cation, the optimum annealing temperature in static condition of sea water is 700℃, however non- heat treated specimen in the case of flow condition may be desirable.
PMS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측정의 다양성에 초점을 두어왔으며 PMS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선행연구에서는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강조하였으나 그 연구 결과는 명확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S의 이용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측정의 다양성에 대한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중 매출액 2000억 이상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사업부내에 영향력이 있으며 PMS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는 근속연수가 10년 이상인 차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PMS의 진단적 이용은 조직성과와 긍정적인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성과와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PMS의 상호작용적 이용은 측정의 다양성을 통해 조직성과와의 간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아동이 영상 매체에 관심을 보이는 특성을 활용해서 컴퓨터 동영상 활동스케줄 사용법 지도가 자폐아동의 자발성과 독립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 : 이 연구 A-B 개별실험 연구설계를 통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자폐로 진단된 43개월 된 남아로 현재의 발달수준은 2~3세로 평가되었다. 이 아동은 주의가 산만하고, 부모님이나 교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으며, 한 과제를 지속해서 수행하지 못하고, 할 수 있는 과제도 자발적으로 수행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발적으로 요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독립변인은 컴퓨터에 입력된 동영상 활동스케줄에 따라 아동 스스로 동영상의 각 장면을 본 후, 동영상에 담긴 활동 과제물을 스스로 준비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아동이 할 수는 있지만 자발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놀이나 일상생활 활동 11가지의 수행 장면을 10초간씩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제작된 동영상 활동스케줄을 컴퓨터에 입력해 놓았다. 동영상 활동스케줄 수행과정은 1단계, enter key 누르기, 2단계, 화면에 나오는 장면을 응시하기, 3단계, 화면에서 나오는 동일한 물건을 바구니에서 가져오기, 4단계, 가져온 과제를 수행하기, 5단계, 수행한 과제물을 제자리에 정리하기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었다. 동영상 활동은 1회기에 5회씩 반복 되었으며, 실험은 주 2회기씩 총 8주 진행 되었다. 종속변인은 (1) 지시 따르기, (2) 주어진 과제 수행하기, (3) 자발적으로 행동하기의 3개로 정하였고, 동영상 활동스케줄을 수행한 후 바로 종속변인을 측정하였다. ‘지시 따르기’는 연구자가 임의로 정한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예, “의자에 앉으세요”), 과제수행 측정을 위해 Grooved Pegboard를 사용하였고, 자발적 행동은 아동이 과제수행 시에 필요한 물건을 아동 주변에 놓아두는 상황을 만들어 놓은 후 자발적 행동이 일어나는지 조사하였다.결과 : 동영상 활동스케줄의 평균 수행률은 87.5%이었는데, 수행률이 증가할수록 지시 따르기, 과제 수행, 자발적 수행이 향상되는 현상을 보였다. 지시 따르기는 기초선 때보다 평균 46.9%(간격 = 26.7~73.6%), 과제 수행은 평균 48.3%(간격 = 12~60.3%), 자발적 수행은 평균 40%(간격 = 29~69%) 향상되었다.결론 : 동영상 활동스케줄 활용은 자폐아동의 자발성을 증진과 더불어 과제수행 기능과 지시 따르기 행동을 학습시키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활동스케줄 활용은 치료실이나 가정에서 자폐아동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프뢰벨에게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교육의 맥락과 바우하우스 교육의 연관성 속에서 바우하우스의 이중적인 꿈을 조망하려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바우하우스는 특히 기초과정과 같은 ‘혁신적인’ 교육의 틀을 통해 전통적인 교육과의 단절을 선언하면서,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가져온 모든 지식을 버리고 마치 어린이와 같은 ‘깨끗한’ 상태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다. 요컨대, 바우하우스는 프뢰벨처럼 어떤 비본질적인 것도 남아 있지 않은 ‘순수한’ 상태로서의 기초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한 것이다. 그러나, 마치 어떤 비본질적인 것도 남겨두지 않겠다는, 이들의 ‘순수함’에 대한 집착은 차라리 일종의 강박증에 가까운 것이었다. 어린이미술이 ‘천진난만함’이라는 신화 뒤에 숨기고 있는 가학적이거나 독재적인 요소는 모더니즘에도 그대로 겹쳐진다. 더욱이, 그들이 기대고 있었던 실험적인 교육으로서의 아동 교육은 부르주아 계층의 성장에서 양분을 얻어 태어나고 성장한 것이니만큼, 처음부터 바우하우스의 민주적인 이상에 부합할 수 없었다. 바우하우스가 아카데미의 문제를 정확히 짚고 새로운 교육의 장을 열 수 있었던 것은 아동교육과의 연계로 인해 가능한 것이었지만, 역설적이게도 바우하우스는 아동교육이 기반하고 있는 부르주아 계층의 이상과는 전혀 다른 꿈으로 나아가고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