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윤석렬 두 정부의 아세안 정책은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라는 데는 공통점이 있지만 정책의 수립 배경, 성격 그리고 지향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연구는 두 정부의 상이한 대아세안 정책이 구조적 환경 자체가 아닌 구조적 환경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정책엘리트의 선택의 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정책엘리트들은 중국 부상에 대한 미국의 대응 성격이 강한 인도-태평양 전략을 부정적으로 보았고 대아세안 전략은 인태지역의 지역질서 변화를 반영하기보다는 아세안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한국의 경제영역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입안되었다. 반면에 윤석렬 정부의 정책엘리트들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국제질서의 변화 그리고 인태지역에서의 미국의 새로운 지역전략의 등장을 심각한 구조적 변화로 인식했다. 대아세안 전략인 ’한-아세안 연대구상‘은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를 넘어서 한국의 인태전략의 하위전략으로서 입안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그 전략의 특징은 인태지역에서 규칙 기반 질서를 만드는데 기여하기 위한 아세안과의 안보협력 강화와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는 것이었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volu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U.S. multilateralism. I argue that after the 9.11, we can observe the emergence of a new multilateralism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ultilateralism. This study aim to show the traits of “new multilateralism” with the case of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PSI). The new multilateralism emerged after the end of Cold War and has intensified after the 9.11 is characterized by the promotion of the U.S. defined goals which are not necessarily for the benefit of all within multilateral framework. In the sense that the U.S. single-handedly defines the goal and principles and solicits participation it is not a genuine multilateralism. Since the elements of unilateralism are rooted in the new multilateralism, it often lacks enough legitimacy to persuade international community. Multilateral framework seems to be adopted only to achieve U.S. goal such as fighting terrorism effectively. The legitimacy of the new multilateralism is based on creative doctrines which are controversial and often violate existing international norms and laws. It often is in conflict with international law and existing multilateral institutions which have same purpose. Finally, the role of the U.N. is marginal in the new multilateralism. The U.N. is invited only for the purpose of legitimizing unilateral actions. If we accept that current U.S. foreign policy orientation is neither a unilateralism(at least in form) nor a genuine multilateralism, we should reject simple dichotomy(unilateralism vs. multilateralism) in understanding the U.S. foreign policy ori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