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PTV에서 프로그램별 VOD 시청 건수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0
    Citation
    0
    Reference
    0
    Related Paper
    Abstract:
    IPTV(Internet Protocol TV) 서비스가 도입된 이후에 VOD(Video On Demand) 이용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TV 시청 패턴, 프로그램 선택 기준 등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TV 프로그램별 VOD 시청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에 방영된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IPTV 사업자의 실제 VOD 이용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1) 실시간 방송 시점의 프로그램 시청률과 VOD 시청 건수 간에는, 장르나 유 · 무료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역U자형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청률이 높을수록 VOD 시청 건수도 늘어나지만 그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고, 시청률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VOD 시청 건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2) 지상파와 비지상파의 차이를 보면, 건별로 구매하는(PPV) VOD는 지상파보다 비지상파 프로그램이 더 많고, 특히 드라마에서는 무료 VOD 조차도 지상파가 열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J 및 종합편성채널의 콘텐츠 파워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방송사보다 자신의 취향을 더 중요시하는 VOD 이용자들이 여기에 반응한 결과로 보인다. (3) 장르별로는, 월정액 VOD 상품(PPM) 가입자들은 예능보다 드라마를 더 많이 시청하며, 시사 · 교양 장르는 유 · 무료 모두 드라마보다 적게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들에 비해, 본 연구는 모든 TV 프로그램의 유 · 무료 VOD를 포함하는 훨씬 광범위한 자료를 활용하여 시청률, 방송사, 장르, 편성 유형 등 다양한 프로그램 특성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Keywords:
    IPTV
    Video on 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