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The Discovery of Korean Spoken Language and the Grammar Studies-Based Seeking During the Modern Science Formation Period
    0
    Citation
    0
    Reference
    20
    Related Paper
    이 논문은 외국인에 의해 저술된 근대의 한국어 학습서들과 주시경의 『국어문법』(1910)에서 문장론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주시경의 저작이 갖는 문법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문법』은 문법 연구의 불모지에서 탄생한 선구적 저술로 평가되어 왔지만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저술이 가능했던 배경에 모국어를 타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험들이 자리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 글의 주된 내용은 문장 유형, 접속, 내포, 생략 등 문장구조와 관련된 서술들에 대한 비교, 그리고 높임, 시제, 부정 등 문법 범주와 관련된 서술의 비교로 이루어져 있다. 분석 결과 외국인들에 의해 포착된 한국어의 특징적 현상들은 주시경의 문법 체계에서도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었지만, 주시경은 표면적 현상에 대한 기술에서 더 나아가 그 원리를 규명해 내려는 노력을 보여주었고 용법에 대한 기술을 생략하고 질서정연한 언어로서의 한국어의 모습을 담아내려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rean language
    Citations (0)
    ‘윤동주와 배우는 한국 시’ 애플리케이션은 윤동주에 대한 글로벌 추모, 공표,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잠들기 직전까지 디지털 기기를 대면하여 정보를 습득, 생성, 유통시키는 21세기 현대인에게 적합한, 20세기 시인에 대한 추모 공간인 이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윤동주의 시 119편을 어휘와 문법 난이도에 따라 한국어 능력 1급(초급)부터 6급(고급)으로 분류하였고 시마다 주요 문형 표현과 수사법을 설명하였다. 둘째, 이 앱은 회원들의 참여와 상호 소통을 중시하는 뉴뉴미디어 플랫폼이다. 그의 시를 학습하고 나서 창의적으로 바꿔 쓴 시를 게시하거나 다른 사람이 써 올린 시를 감상하고 칭찬할 수 있다. 셋째, 이 앱을 만든 동주문학회의 초창기 활동과 최근의 재건 과정이 소개되어 있어서 한국 대학의 동아리 문화를 간접 체험할 수 있다. 이 웹앱을 다운 받아 스마트폰 바탕화면에 윤동주 시인의 얼굴을 심어둔다면, 고급 한국어의 시적인 표현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마다 한 줄 시를 적는 문화생활도 실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일상적으로 시를 짓고 놀았던 한반도 선비들의 풍류 문화를 오늘에 되살리고, 어려운 시대에 직면하여 윤동주가 보여준 지식인 표양을 따르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인류의 미래는 좀 더 행복해질 것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출시와 유통으로 인하여 진리 안에서 자유롭게 깨어 살면서 이웃을 내 몸 같이 사랑하는 다국적 문인 활동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Citation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