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Behavior of concentrically loaded geopolymer-concrete circular columns reinforced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with GFRP bars
    189
    Citation
    58
    Reference
    10
    Related Paper
    Citation Trend
    본 연구에서 교량바닥판용으로 조립식(Modular) 유리섬유 보강(GFRP) 바닥판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조립식 GFRP 바닥판시스템은 GFRP 주 단위모률(unite module)과 연결 단위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본 GFRP 바닥판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적하중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성능 결과에 대해서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LUSAS을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조립식 GFRP 바닥판은 교량적용에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GFRP 바닥판의 파괴모드가 개발된 다른 상용화된 GFRP 바닥판의 파괴모드와 매우 유사한 파괴모들 나타내었다. A concept of Modular GFRP(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deck panel was proposed for bridge decks. The modular GFRP bridge deck system is comprised of main unit module and connector unit module with GFRP flanges and web. Its structural performance under static loading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LUSAS finite element predic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ed GFRP modular panel was very efficient for use in bridges. The failure mode of the proposed GFRP deck was similar when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other GFRP decks developed.
    Bridge (graph theory)
    Bridge deck
    Based on the salt spray test of reinforced concrete beams,the ductility of reinforced beams of the corrosion condition of chloride ions was analyzed.With the parameter amendment method and combini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the computation model of the section curvature ductility fact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nder corrosion condition was worked out on the basis of existing section curvature ductility factor formula.The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ion results from the model and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is new model might reflect the rules of ductility changes of corroded parts and thus could provide theoretical bases for evaluating the firmness of been corroded reinforced concrete beams.
    Ductility (Earth science)
    Citations (0)
    환경문제를 야기시켰던 해상용 FRP재활용에 대해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서 폐FRP로부터 콘크리트 강화용 섬유 제작이 진행되어 왔다. 이렇게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에 대해 구조적 능력까지 시험한 바 있다. 시험 테스트 결과 재활용 FRP 가루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았을 뿐 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폭 특성을 상당히 증대시켰다. 그러나 폐FRP로부터 매트층의 분리 방법이 안정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폐FRP 섬유 가루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종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폐FRP로부터 매트층을 분리하는 효과적이며 친환경적인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내폭성이 강한 제품이나 구조물에 적합한 FRP섬유가루 생산 공정에 유용한 재활용 공정이라 생각한다.
    FRPは軽量かつ腐食環境において腐食しないという,他の材料では得難い特長を有するが,製造方法が鋼やコンクリートとは異なる点などから,これを適切に活かす設計手法の確立にあたり,FRP部材の実情にあった情報・データの取得と,これらに基づく部分安全係数の設定が必要となっていた.しかし,FRPは土木構造材料としての活用はまだコンクリートや鋼に比べてまだ日が浅く,土木構造材料としての適用を前提としたFRP部材の挙動に関するデータの拡充と整理が課題となっていた. このため,FRP複合構造研究小委員会(H208)においては,FRPの性状変動要因など,FRPの部分安全係数設定に必要な事項を検討・データ収集を,実験をはじめ,文献調査,実態調査などを通して実施した.本報告ではこれらの活動の主たる成果をまとめた.
    최근 FRP 판을 이용한 표면매입 보강공법에서 FRP와 콘크리트 사이의 계면파괴를 연구하기 위한 실험 및 이론적인 연구가 국내외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 결과 보강재의 형상과 콘크리트 강도 그리고 부착길이 등에 대한 일련의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보강재의 부착길이에 따른 각 보강재의 적정 간격, 그리고 무리효과 등과 같은 영향인자들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부착길이와 보강재인 FRP 판의 보강간격을 변수로 부착실험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부착성능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표면매입 보강된 FRP 판의 계면파괴시 강도를 산정하기 위한 기존 제안식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매입된 FRP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FRP판의 인장파단과 함께 내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에 FRP판의 간격이 좁을수록 콘크리트 할렬파괴가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제안식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를 비교한 결과, FRP의 부착길이와 무리효과를 고려한 기존 제안식을 사용하여 표면매입 보강된 FRP의 부착강도를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ガラス繊維強化樹脂(GFRP)の異方性物性を,面内方向の縦弾性率から推定する手法を考案した。GFRPが使用されたプリント配線板の応力や変形を,有限要素解析により精度良く予測するためには,GFRPの異方性物性の考慮が必要となる。GFRPの異方性物性は均質化法で予測できるが,その際に必要となる基材樹脂の物性は製造方法によって変化するため不明な場合があった。そこで本研究では,GFRPの面内方向の引張試験結果を用いて,異方性物性を推定する方法を考案した。本手法をプリント配線板に使用されるGFRPに適用し,製造方法による樹脂物性の変化を考慮したGFRPの異方性物性の推定が可能であることを確認した。
    Citations (0)
    철근의 부식은 철근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성능 저하에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FRP는 비부식성 재료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보강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종류의 FRP 보강근이 개발되었으나 아직 활용 실적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 이유로는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단/장기 검증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GFRP 보강 바닥판에 대한 피로성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길이 4000 mm, 폭이 3000 mm, 높이 240 mm인 실제 크기의 교량 바닥판을 도로교설계기준을 준용하여 제작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부 보강비를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DB-24 하중이 바닥판 중앙에 집중 작용하는 것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하중의 3.5, 4.5, 5.0배에 해당하는 다양한 하중을 2백 만회 이상 반복 재하하여 GFRP 보강바닥판의 피로성능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거더가 횡구속된 GFRP 보강 바닥판의 최대성능은 보강근비에는 민감하지 않았고, 피로성능은 보강비보다는 적용하중의 크기에 민감하며, 바닥판이 200만회 이상 반복재하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재하되는 집중하중의 크기는 최대하중의 58% 수준 이하이어야 하며, 이 연구의 실험 대상 GFRP 보강 바닥판의 피로수명은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수명 예측값보다는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FRP 보강 콘크리트 바닥판의 기존 예측값보다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Rebar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FRP(Fiber Reinforced Polymer) 플레이트로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는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1:9로 혼합하고, 섬유와 에폭시를 7:3으로 혼합하여 제작한 보강재이다. 탄소 FRP 플레이트 또는 탄소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는 기존의 기하철 구조물이나 한국전기공사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는 구조물을 보강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는 비전도성이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는 구조물을 보강하는데 제한이 없다. 또한,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는 경제성 및 구조성능 측면에서 기존에 사용되어 온 FRP 플레이트보다 우수하다.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로 보강된 휨 부재의 휨 성능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7개의 제작하였다. FRP 플레이트 종류, 앵커형태, 그리고 에폭시 유무 등을 주요 실험변수로 하였다. 실험결과, FRP 플레이트로 보강한 모든 실험체가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보다 우수한 구조성능을 나타내었고, 기존에 사용되어 온 FRP 플레이트로 보강한 실험체에 비해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로 보강한 실험체가 우수한 휨성능을 나타내었다.
    Citations (0)
    본 논문은 탄소 FRP 판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효과와 거동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인자로는 휨보강 탄소 FRP 판의 부착길이와 탄소 FRP 쉬트의 복부정착 길이이다. 시험보는 탄소 FRP 판으로 인장면에 부착하여 휨 보강하고 FRP 판을 탄소 FRP 쉬트로 복부에 정착하였다. 일반적으로 복부정착이 없는 휨 보강된 보들의 파괴형태는 횡방향 주철 근을 따라 발생한 콘크리트 덮개 박리파괴를 나타내었다. 반면, 탄소 FRP 쉬트로 복부 정착된 휨 보강 보들은 CFRP 파단파괴 후 콘크리트 경계면 전단 박리파괴를 나타내었다. 보강된 보들의 극한하중과 극한처짐은 FRP 판의 휨 부착길이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휨 보강된 보들은 FRP 쉬트의 복부정착 길이의 증가에 따라 극한하중과 극한처짐 값이 증가하였다. 특히, 복부 정착한 보들은 최대 극한하중에 도달한 후에도 상당한 극한하중 지지능력을 상당한 극한 처짐 시까지 유지하였다. 시험보의 길이에 걸친 FRP 판의 변형률 분포는 휨 모멘트도의 모양과 거의 유사하여 전단지간에서 일정한 전단응력 분포를 가정할 수 있었다. 전지간을 휨 보강한 보에 있어서는 콘크리트와 FRP 쉬트에 의한 경계면에서의 극한전단 저항강도는 복부정착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전단 저항강도 중에서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부 정착 FRP 쉬트도 일부의 전단 저항강도를 부담하였다.
    Citations (0)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는 경량화된 고인성 고강도 재료로 건축재의 보강목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낙엽송 집성재 하단에 GFRP(Glass FRP)를 체적비 0.7%와 2.1%로 보강 시 평균 휨 강도가 각각 12%와 28% 증가하였다. FRP보강은 다양한 건축재료에 적용되어 폭넓게 연구되고 있으나 소경각재 보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 소경각재를 적층 후 인장응력을 받는 최외각 인장부위에 FRP를 보강하여 보강하지 않은 대조군 및 단면적이 동일한 집성재와 휨 강도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보강재들은 체적비 1.4%의 CFRP(Carbon FRP)와 체적비 1.7%의 GFRP로 보강하였다. 휨강도 시험결과, 대조군 시험편은 인장부위에서 파괴된 시험편들이 접착층에서 목파가 발생한 시험편들보다 평균 33% 우수한 강도가 측정되었다. CFRP로 보강한 시험편들은 대조군 시험편들보다 평균45% 양호한 휨 강도가 측정되었으며, GFRP로 보강한 시험편들은 평균 18% 우수한 휨 강도가 측정되었다. CFRP로 보강한 시험편들의 파괴형상은 CFRP가 분리됨과 동시에 파괴되는 현상과 접착층에서만 목파가 발생하는 파괴형상을 보였다. CFRP와 소경각재가 같이 파괴된 시험편들이 접착층에서 목파된 시험편들보다 평균 16% 우수한 휨 강도가 측정되어 Control 시험편과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GFRP로 보강한 시험편들은 인장부위의 GFRP가 섬유방향으로 찢어지면서 소경각재가 같이 파괴되었다. 대조군 시험편들의 휨 강도는 동일단면적의 집성재보다 평균 8% 낮게 측정되었지만, CFRP와 GFRP로 보강한 시험편들은 집성재보다 각각 32%와 8% 향상된 휨 강도 성능을 보였다.
    Citation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