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탄바이러스의 섬유아세포 감염에 대한 Integrin 항체의 억제 효과
    0
    Citation
    0
    Reference
    0
    Related Paper
    Abstract:
    사람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는 동물 모델이 없는 신증후출혈열의 병리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in vitro culture system을 이용하였다. 신증후출혈열의 주된 병변이 혈관내피세포외에 섬유아세포가 많이 존재하는 신세뇨관 간질 및 폐간질임을 기초로 하여 계태아와 Mongolian gerbil의 섬유아 세포에서 fibronectin에 대한 수용체인 a 5 β 1 , integrin에 대한 항체를 처리하여 한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초대 배양하여 사용한 계태아 섬유아세포 및 MGF 모두 한탄바이러스가 잘 감염되었으나 계태아 섬유아세포에 비하여 MGF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이 더 우수하였다. 계태아 섬유아세포와 MGF에서 a 5 β 1 ,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 5일 후 바이러스의 N 단백의 역가는 항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2.6%, 72.6%로 virion의 역가는 26.8%, 28.7%로 감소하여 두 세포에서 모두 감염력을 가진 바이러스의 양은 거의 동일하게 감소 되었다. 또한 a 5 subunit와 s 1 , subunit에 대한 항체를 MGF 세포에 처리한 후 바이러스의 N단백의 역가는 65.2%, 59.7%로 a 5 β 1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하였을 때 (72.6%)와 거의 유사하게 감소하였고 감염력을 가진 바이러스의 양도 26.5%, 29.4%로 감소하여 a 5 β 1 integrin에 대한 항체 처리시 (28.7%)와 거의 유사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 5 β 1 integrin이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수용체로써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또 다른 기전으로는 a 5 β 1 integrin의 차단에 의한 이차적인 영향으로 한탄바이러스의 증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Keywords:
    CD49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