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술의 시간결정 ( time of Cesarean section ) 선택적 및 진통중 수술
0
Citation
0
Reference
0
Related Paper
Abstract:
1986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이화여자대학병원에 입원한 제왕절개술 적용임부 263명을 대상으로하여, 제왕절개술 시간결정에 대한 기준을 선택적 제왕절개술 및 진통중 제왕절개 술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선택적 제와절개술의 시기결정에 있어 정확한 임신주수 측정이 항상중요하다. 최종월경리 에 의한 임신주수 결정 내지 만삭여부의 측정은 보통 적용되고 있으나 (90%확율) 자궁저부 높이의 기준 즉 그 높이가 30 cm 또는 그 이상일 때는 거의다 (98%)가 만삭범위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2. 진통중 만삭초산부의 제왕절개술의 시간결정은 그 정착시간별로 책정한 것이 최적의 방 법으로 타당하였다. (1) 1-2시간 말기정착(하강 정착-1 및 적극개대기 정착 9cm정도에서 1-2 시간 정지) (2) 3시간 중기정착(하강 정착 -2 및 잠복기 연장 또는 적극개대기 정착 5cm정도 에서 3시간 정지) (3) 4-48시간 초기정착(하강 정착 -2 및 잠복기 연장 또는 적극개대기 정 착 4cm정도에서 4-48시간 정지) 등으로 진통진행과적이 실패 될 때에는 각각 그정착시간 내에 지연없이 제왕절개술을 실시함으로써 모아 양측의 예후가 양호하였을뿐 아니라, 그 수 술의 원인적 요소 분석에서도 모두 수술 불가피 상태에 있었음을 알 수 잇었다. 조기 파막군에서는 1-3시간 말기정착(하강 정착 -1 및 잠복기연장 또는 적극개대기 정착 8cm정도에서 1-3시간 정지)에 봉착할 때 3시간내에 수술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태아 장애시에 응급제왕절개술의 시간결정에 있어서는 완고한 변이하강, 혼합하강, 변이결 여, 또는 태아의 빈맥 등의 태아심박 소견이 신빙성있는 지침으로 확인되었다.Keywords:
Section (typography)
C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