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arental Presence on Coping and Delinquency in Homeless Adolescents
0
Citation
0
Reference
20
Related Paper
Keywords:
General Strain Theory
Cite
Depression
Cite
Citations (2)
Cite
Citations (0)
Parental monitoring
Cite
Citations (10)
Cite
Citations (0)
Cite
Citations (5)
Cite
Citations (2)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가정과 학교환경에서 경험하는 폭력의 중복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폭력피해 경험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과 비행문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 및 정책과제연구' 자료의 6,174사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청소년의 8.3%가 2가지 이상의 폭력피해에 노출되어 있었고, 이중 2.1%는 3가지 이상의 폭력피해를 중복적으로 경험했다. 또한 한부모가족과 가구경제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의 중복피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폭력피해 경험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과 비행문제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중복피해 청소년들은 우울불안과 스트레스, 비행수준은 가장 높은 반면 자존감 정도는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중복피해 연구와 개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poly-victimization and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linquency by victimization types among adolescents. A total 6,174 cases from '2013 Adolescent Deviant Behaviors and Policy Issues' of NYPI was used for the analysis. Main findings are that 8.3% of adolescents exposed to more than two types of victimization and 2.1% of them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ypes of victim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linquency by victimization types.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of adolescent poly-victimization.
Cite
Citations (3)
Cite
Citations (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대와 우울, 사회적 위축, 비행피해경험, 그리고 사이버 비행간 관계를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위기청소년들의 사이버 비행 문제를 예방하고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여 수집한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5차년도 데이 터를 사용했다. 총 2,091명의 전국 남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관계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서는 첫째, 비행피해경험,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의 사이버가해 비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피해경험이 더 많고 사회적 위축이 더 될수록 사이버가해 비행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학대는 청소년의 우울과 사회적 위축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학대가 사이버비행에 주는 간접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행하는 사이버가해 비행에 대한 예방이나 개입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 abuse,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delinquency victimization, and cyber delinquency among high school adolescents. This study used the Korea Youth Child Panel Survey (KYCPS) wave 5 data, including 2,091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he results from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the data revealed that delinquency victimization and social withdrawal had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cyber delinquency. In addition, parent abuse had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ile indirect effects of parent abuse were not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cyber delinquenc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Depression
Cite
Citation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