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raction Note to: “Human leptin triggers proliferation of a549 cells via blocking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apoptosis”
1
Citation
19
Reference
10
Related Paper
Citation Trend
Keywords:
Blocking (statistics)
목적: 생쥐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leptin이 배아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각 배아발달 단계에서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 8~15주령의 C57BL 자성생쥐에 5 IU PMSG와 48시간 후 5 IU hCG를 복강 내 주사한 후, 동종의 웅성생쥐와 1:1 교배시켰다. hCG 주사 후 18시간 후 자성생쥐로부터 1-세포기 배아 (Day 1)를 회수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생쥐 재조합 leptin (0, 5, 50, 500 ng/mL)을 첨가하면서 포배아까지의 배아발달을 관찰하였다. Leptin이 영향을 미치는 배아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동일 농도의 leptin을 2-세포기와 4-세포기 배아시기에 첨가한 후 포배아까지의 배아발달률을 관찰하였다. 포배아에서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발달 시기별 배아에서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Leptin이 영향을 미치는 배아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동일 농도의 leptin을 2-세포기와 4-세포기 배아시기에 첨가한 후 포배아까지의 배아발달률을 관찰하였다. 포배아에서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발달 시기별 배아에서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형광법으로 측정하였다. 1-세포기 배아시기에 leptin의 첨가 시 포배아 형성률은 50 ng/mL 농도에서 약 78%로 대조군(53%)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500 ng/mL의 고농도에서는 13%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P<0.05). 2-세포기 배아 단계에 leptin의 첨가는 1-세포기 배아에서의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4-세포기 배아 단계에서는 leptin의 농도에 따른 배아발달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1-세포기 배아 단계에서 leptin을 처리했을 때에 비해 leptin 농도에 따른 배아발달향상 효과나 억제 효과가 2-세포기나 4-세포기 배아시기에서 처리 시 다소 둔화된 양상을 보였다. 포배아의 세포수는 1-세포기와 2-세포기 배아시기에서 leptin 처리 후 50 n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500 ng/mL에서는 세포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leptin을 4-세포기 배아시기에 처리시 포배아의 세포수는 leptin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eptin 수용체는 1-세포기 배아에서 포배아에 이르는 모든 배아발달 단계에서 발현되었으며, 1-, 2-세포기 배아단계에서 보다 강력한 면역형광반응을 보인 후 배아발달이 진행될수록 감소하다가 포배아기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생쥐 배아의 체외배양 시 leptin은 농도와 배아발달 시기에 의존적으로 배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효과는 각 배아발달 시기의 leptin 수용체 발현 양상과 관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Leptin receptor
Cite
Citations (0)
Comparison with the findings in the cells of other plants and animals showed that the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root apex ofFagopyrum has the same general character and function as in other biological objects, i.e. in secretory processes and especially in this case in the transport of the substances produced. Detailed studies of the morphology and activity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showed some functional differences which are characteristic for this object. The endoplasmic reticulum participates apparently in the transport of the mass of known but functionally and nomenclatorically controversial formations which here are called dense bodies. Dense bodies exist inFagopyrum in a considerable amount as compared to other objects. Frequent contact of the dense bodies with the end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contact with the endoplasmic retieulum passing through the plasmodesm, accumulation of the dense bodies along the cell wall and in proximal distance of the plasmodesms and intensive staining of some plasmodesms was observed. The dense vacuoles in this object represent dilated space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which apparently have the function of reservoirs of the dense mass. The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calyptra cells appears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cell walls. This object differs hereby from others, where the participation of the Golgi apparatus has been observed in this function.
Cite
Citations (14)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비만뿐만 아니라 여성의 생식 생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 이러한 leptin이 난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확인하고 발정주기에 따른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RT-PCR 방법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 결과 흰쥐 난소내에서 leptin은 협막세포와 폐쇄 난포의 일부 과립세포에 염색되었고, leptin 수용체는 협막세포, 간질세포와 난포강이 형성되지 않은 난포의 난자에 염색되었다. 특히 폐쇄 난포에서는 leptin과 leptin 수용체가 정상 난포에 비해 강하게 염색되었다. 흰쥐의 발정주기 동안 혈청내 estradiol, progesterone 및 leptin의 농도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난소내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mRNA 발현 양상은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혈중 leptin 농도를 측정한 결과 estrous 시기에 비하여 metestrous 시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 시기에 progesterone 농도가 함께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Leptin mRAN는 모든 발정주기에서 발현되지 않았지만 leptin 수용체 mRNA는 diestrous 시기를 제외한 다른 발정주기에 모두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eptin이 흰쥐 난소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Leptin receptor
Cite
Citations (0)
The distribution of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in rat hepatocytes during a period of rapid endoplasmic reticulum differentiation (4 days before birth-1 day after birth)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e cytochemistry. Techniques were devised to insure adequate morphological preservation, retain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and control some other possible artifacts. At all stages examined the lead phosphate deposited by the cytochemical reaction is localized to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the nuclear envelope. At 4 days before birth, when the enzyme specific activity is only a few per cent of the adult level, the lead deposit is present in only a few hepatocytes. In these cells a light deposit is seen throughout the entire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At birth, when the specific activity of glucose-6-phosphatase is approximately equal to that of the adult, nearly all cells show a positive reaction for the enzyme and, again, the deposi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entire endoplasmic reticulum. By 24 hr postparturition all of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in addition the newly formed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contains heavy lead deposits; enzyme activity at this stage is 250% of the adult leve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lucose-6-phosphatase develops simultaneously within all of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embranes of a given cell, although asynchronously in the hepatocyte population as a whole. In addition, the enzyme appears throughout the entire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s the membranes form during the first 24 hr after birth. The results suggest a lack of differentiation within the endoplasmic reticulum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glucose-6-phosphatase at the present level of resolution.
Cytochemistry
Glucose 6-phosphatase
Reticulum
Cite
Citations (276)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s a new concern during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liver disease(ALD)has entered the people's vision.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misfolded and unfolded protein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Appropriate stress was benefical to recovery of intracellular environment,however,serious and persistent stress may lead to apoptosis.Hepatocytes are one of the most sensitive cells,which contain abundant endoplasmic reticulum.Existing study has indicated that endoplasmic reticulum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LD in cell and animal models.In this review,we summaried the role of endoplasmic stress in the pathogenesis of ALD.
Pathogenesis
Cite
Citations (0)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지방 조직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신진대사,식욕,체열 등을 조절하여 비만의 억제 조절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ptin은 비만 뿐만 아니라 생식 생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leptin의작용이 난소에 직접적인지 혹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를 매개로 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난소에서의 Ieptin 및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또한 미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후 3주령과 8주령의 횐쥐 난소에서 leptin과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방법과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방댑 결과 3주령과 8주령 횐쥐 모두에서 leptin은 협막세포와 폐쇄 난포의 일부 과립세포에 염색되었고, leptin수용체는 협막세포,간질세포와 난포강이 형성되지 않은 난포의 난자에 염색되었다. RT-PCR견과 3주 및 8주 횐쥐 난소에서 leptin mRNA는 모두 발현되지 않은 반면, Ieptin수용체 mRNA는 모두 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leptin mRNA가 난소에서 발현되지는 않지만,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leptin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leptin수용체는 난소에서 RT-PCR 방법과 면역조직화차방법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액에서 난소 내로 유입된leptin이 협 막세포, 간질세포와 난자의 leptin 수용체 에 결합하여 난소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Leptin receptor
Cite
Citations (0)
Thioflavin
Cite
Citations (110)
Abstract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difficulty most subjects have in maintaining weight loss. Leptin is a cytokine-like protein made in adipose tissue and is transported into the brain by the blood–brain barrier where it inhibits food intake by altering the expression of hypothalamic neurotransmitters. The discovery of leptin raised the hope that a natural compound had been found that could cause weight loss without adverse effects. However, the majority of obese people have high levels of circulating leptin and it is not surprising that clinical trials published so far have shown that leptin only works effectively to suppress food intake in subjects who are hyperphagic as a result of low leptin levels. Obesity secondary to leptin deficiency is rare, most being associated with leptin insensitivity. To overcome leptin insensitivity, higher leptin levels in the CNS may be required. However, there is evidence that the leptin transport mechanism is saturated at low plasma leptin concentrations, limiting the effectiveness of peripherally-administered hormone. It is concluded that for leptin to have therapeutic potential, it either needs to be modified or the transport system by which leptin enters the brain needs to be upregulated to allow leptin to enter the brain more easily. To achieve effective weight loss, it may also be necessary to overcome central leptin insensitivity by developing agents that act downstream of leptin action.Keywordsbloodbrain barrierobesityweight loss
Cite
Citations (26)
Endoplasmic reticula,widely distributed within cells,are important places for cell synthesis of proteins,lipids and sugars,and are closely related to transport and exchange of materials.Endoplasmic reticulum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duced by steady imbalances(Endoplasmic reticulum stress,ERS),persistent stress can lead to apoptosis.A number of studies show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various liver diseases are closely related.This article reviews the correlation betwee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pathogenesis of liver disease.
Cite
Citations (0)
客观肥胖荷尔蒙, leptin,被发现了参予正常、恶意的纸巾的发展和增长。这研究的目的是在人的颜色评估 leptin 的角色表面的癌症。方法浆液 leptin 层次在 30 颜色经由 ABC-ELLSA 被测量表面的癌症和 24 正常控制。在颜色的 Leptin 集中表面的癌症以选择 clinicopathological 特征和某 oncogenes 被分析。结果 leptin 的吝啬的集中是显著地更高的为比正常控制(2.27 ± 0 .99 ng/ml ) 渲染表面的癌症(3.54 ± 1 .46 ng/ml ) ,没有性差别在这研究被观察。在糟糕区分的肿瘤的 Leptin 表示显然是比在中等并且很好区分的肿瘤的那些低的。在颜色在 leptin 和浆液 CEA 和 CA199 之间没有统计上重要的关联表面的癌症(P>0.05 ) ,并且在 leptin 和 K 地岬的表情之间, P53, APC,在肿瘤纸巾(P>0.05 ) 的两重棉包线基因。结论 Leptin 完了在人的颜色表示了表面的癌症,它与肿瘤的区别度有关。在 leptin 表示和在颜色的 oncogenes 的变化之间没有关联表面的癌症。
Leptin receptor
Cite
Citation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