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통합모델 구상과 실천사례연구: 완주군의 교육통합모델을 중심으로

2017 
본 연구는 전국 유일의 교육전담중간지원조직인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이하 ‘센터’로 약 칭) 가 운영하는 ‘교육통합모델’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센터가 운영하는 교육통합모델을 어떻 게 구상하게 되었는지, 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통합모델 프로젝트를 어떤 과정을 통해 개발 하였고, 그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학교현장에 어떻게 적용ㆍ실천하 였으며, 그 실천과정에서 드러난 효과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3 년 이후 현재까지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가 운영해오고 있는 교육통합모델의 여러 사례들 가운데, 지역사회의 교육자원에 대한 의존 여부를 기준으로 ‘독립적인 도농복합형’, ‘준 독립 적인 농촌형’, ‘의존적인 작은 학교형’으로 구분하였다. 세 유형 중 의존적인 작은학교형인 소망분교 실천 사례를 연구하여 나머지 사례로 확장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의 교육통합모델은 센터의 관계자 및‘매개자’(센터에서 양성된 학 부모 등)가 참여하여 학교의 정규교과 또는 방과후 프로그램에 참여, 다양한 프로젝트 학습 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첫째, 무기력한 아이들의 적극적 참여가 또 렷해졌다. 둘째, 차이를 좁혀가며 듣게 되었다. 셋째, 서로 들어 주는 관계 속에 집중하게 되 었다. 넷째, 참여가 또렷해지고, 차이를 좁혀 듣게 되며, 서로 들어 주는 관계 속에 집중하는 현상은 학교, 센터, 지역사회가 학교 문제에 공동 대응한 결과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교육전담중간지원조직체가 운영하는 교육통합모델은 완주군뿐만 아니라 전국지역 단 위에서 지역공동체의 실천적 대안모델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