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산림식생의 군집분류와 이에 미치는 환경영향

2019 
산림의 층위구조는 산림생태계 일련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산림을 관리함에 있어 산림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한국의 산림식생을 수평적·수직적으로 구분하고, 임분 유형별 입지환경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내륙지역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수종 및 임분 특성에 맞는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정책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식생자료는 제6차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의 상층식생 수목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목의 상대밀도, 상대우점도 그리고 상대빈도를 계산하여 중요치(IV)를 산출하였다. TWINSPAN 분석을 통해 대표 임분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CCA 분석을 통해 임분 유형과 주요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임분 유형별 하층식생의 수목자료(DBH<6㎝)를 활용해 산림의 수직구조, 지속가능성 그리고 잠재식생을 예측하였다. TWINSPAN 분석 결과 총 16개의 대표 임분 유형으로 I.신갈나무-피나무림, II.신갈나무-당단풍림, III.신갈나무-일본잎갈나무림, IV.신갈나무-물푸레나무림, V.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림, VI.잣나무-신갈나무림, VII.소나무-신갈나무림, VIII.굴참나무-졸참나무림, IX.소나무-밤나무림, X.소나무-리기다소나무림, XI.상수리나무-소나무림, XII.굴참나무-소나무림, XIII.소나무-사방오리림, XIV.곰솔-졸참나무림, XV.소나무-곰솔림 그리고 XVI.편백-소나무림으로 분류되었으며, 본 임분 유형은 한국 내륙 산림식생을 대표하였다. 각 임분 유형은 다른 수목구성종, 산림구조 그리고 입지환경을 가지며, 이는 CCA 분석결과, 임분 유형의 분포가 14가지 환경변수 중 고도, 경사도, 연평균기온 그리고 강수량의 환경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임분에서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저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곰솔 그리고 편백나무가 우점하는 임분 유형의 하층식생은 낙엽성 참나무류인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어 이들 산림식생은 낙엽성 참나무류의 숲으로 대체될 것으로 판단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