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utcome and Vision of the Research of Ugyae Seong-Hon

2019 
우계 성혼 연구는 1970년대 말 시작되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 성과가 제출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연구 성과 제출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어져 2019년 현재 총 287건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연구 성과들은 절반 이상이 성리학(본체론·심성론) 분야이고, 나머지가 생애와 학문 소개, 학파·문인, 교육분야이며, 10명 내외의 주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주도되었다. 우계 연구가 단기간에 이루어짐으로 인해 우계 연구의 양적 성과에 비하여 질적 성과가 미흡하였다. 연구 분야가 치중되어있고 체계적이지 않으며 우계의 학문을 대표하거나 규정할만한 개념이나 색깔이 모호하다. 따라서 다음 세 가지가 향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우계의 학문에서 ‘보편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연구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우계 학문을 ‘퇴계·율곡의 절충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고, 성리학, 도학이 가진 보편성의 측면에서 우계를 연구해야 한다. 둘째, 우계 삶의 특수성, 우계가 처한 당대 현실의 특수성의 전제 위에 우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우계로 우계를 이해해야 한다. 성리학은 ‘실천’을 위한 학문이고 따라서 본체론·심성론도 중요하나 수양론·경세론이 더 실질적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우계의 학문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계가 어떤 이론이나 학설을 제시했는가보다는 그가 어떻게 수양하고 실천했는가를 살펴야 한다. 셋째, 단편적·산발적 연구가 아닌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체론·심성론을 구심점으로 잡고 수양·경세론 및 교육·문학·역사 분야를 균형 있게 연구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분야 간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우계 연구의 방향성이나 기조를 세워 우계 학문의 정체성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