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ncome, Age, and Need for Cognition on Digital Media Skills and New Media Literacy

2018 
본 연구는 소득, 연령, 인지욕구로 인해 발생되는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 사이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20대-60대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있어서 기능적(functional)-비판적(critical) 차원과 소비(consumption)-생산(prosumption) 차원을 모두 아우르는 능력을 가리키는 뉴미디어 리터러시(NML)의 4가지 유형(기능적 소비능력, 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소득과 연령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살펴보았는데, 예상대로 소득이 증가하고 연령이 감소할수록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인 뉴미디어 리터러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인 디지털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변인으로, 개인 심리적 동기인 인지욕구(NFC)도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가지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살펴보았는데, 소득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는 4가지 유형의 NML중 생산(prosumption) 리터러시(기능적 생산능력 및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이 유발하는 디지털 격차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는 연령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소득에 대한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도 기능적 소비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유형의 NML(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인지욕구가 증가할수록 더욱 줄어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과 인지욕구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