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s for Applications of Therapeutic Farms for Promoting School Community Engagement in Korea based on Review of Therapeutic Farms, Gardens, Animals, Policies, and Laws in the U.S.A.

2017 
최근 농업과 농촌자원을 국민의 행복과 연결하는 치유 농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는 예부터 질병이 발생하고 난 후 치료보다는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의식동원’ ‘약식동원’이라는 말까지 있으며, 자연환경 속에서의 적절한 농업 활동은 질병예방이나 치유에 유용하다는 것은 동서양의 사례가 있다. 네덜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우리나라도 2013년 치유 농업에 대한 유럽의 사례를 소개한 이후 관심도가 높아져 2016년도에는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치유농업관련 연구자, 행정가 및 관계인사가 참여하여 학술포럼을 구성하고 치유농업에 대한 법적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직 치유농업이라는 정부의 공식적인 자격증 부여는 없으나 관련 자격을 부여하는 민간단체도 있고,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치유농업과 관련된 학과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에서의 치유 농업을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외국의 사례들을 수집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까지는 네덜란드를 포함한 유럽 국가의 치유농업 사례들이 소개된 정도이나(김경미 외, 2013), 치유농업 역사가 100년이 넘는 미국의 사례(Loue, 2016)등 다양한 국가의 사례 수집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치유 농업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 치유농업의 발전 토대가 된 도덕적 치료 개념을 검토하고, 치유농업의 유형인 치유농장, 치유정원 및 동물 보조 치료에 대한 미국의 사례와 이에 관련된 법령, 정책, 전문단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외에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휴경지 등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주민을 위한 정원이나 텃밭 운영, 학교 텃밭 가꾸기, 동물보조치료 등을 통한 초. 중등 학교의 농업교육, 지역사회교육, 건강한 식생활 유지 등 다양한 교육을 위한 실험실과 학습 현장으로서의 활용 현황을 고찰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3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