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catc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yudeok, Jeju island

2014 
연안은 일반적으로 먹이 생산력이 높아 다양한 생물의산란 , 서식 및색이장으로 이용되는 해역으로서 정착성및회유성 어종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상이 나타났다 .연안역은 지역에 따라 수심 , 조석 변화 , 수온 , 염분 및해수유동 등해양환경 특성의 차이를 갖으며 , 이러한 환경특성은 수산생물에 영향을 주어 지역마다 독특한 수산생물의 군집구조를 갖는다 (Kwak and Huh, 2007; Goand Cho, 1997). 특히 , 제주도 주변 해역은 대마난류수 ,황해난류수 , 중국대륙연안수 , 황해저층냉수 , 한국 남해안연안수 , 혼합수 등여러 이질 수괴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인 해양환경을 나타났다 (Choi et al., 2003). 이러한복합적인 해양 환경은 제주도 연안의 어획량과 수산생물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친다 (Yoo et al., 1998; Cha etal., 2001).제주도 정치망어업은 마을어업으로써 제주도 지역어획량의 약3% 를차지하고 있으며 , 마을 연안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주도 연안 어종의 변화를 관찰하는 데용이하다 . 지금까지 제주도 연안에서 수행된 정치망 어장에출현하는 수산생물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한림연안의 어획량 변동 (Kim etal., 1999), 제주도 연안 평대 ,구엄 , 두모 및강정에서의 어획량 변동 및어기 (Cha et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1
    References
    2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