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무용 전공자들의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의 관계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학무용 전공자 28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측정도구는 Elliott 과 McGregor(2001)의 2x2 성취목표지향성, Motl 과 Conroy(2000)의사회적 체형불안, 이효민과 김선정(2009)의 무용자신감의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기술 통계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 학년, 입상유무에 따라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x2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적 체형불안, 무용자신감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접근은 신체적 표현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은 신체적 표현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행회피와 숙달회피는 부정적 체형평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숙달접근과 신체적표현만족은 무용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숙달회피는 무용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