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rtemisia annua L.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nd solid-phase micro extraction

2018 
본 연구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추출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개똥쑥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SDE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개똥쑥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SDE법과 SPME법에서 각각 79종 및 39종의 화합물로 분리 동정되었다. 총 함량은 각각 1,254.00 ㎎/㎏ 및 488.74 ㎎/㎏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에서 분리동정된 성분들은 alcohol류 27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aldehyde류 13종, ester류 3종, hydrocarbon 22종, ketone류 12종, oxide류 1종 및 n-containing compound류 1종 동정되었다. SPME법에서는 alcohol류 7종, aldehyde류 5종, ester류 1종, hydrocarbon류 18종, ketone류 7종 및 oxide류 1종이 확인되었다. 개똥쑥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caryophyllene oxide, β-caryophyllene, camphor, β-selinene, γ-muurolene, 1,8-cineol, (E)-pinocarveol 및 pinocarvone 등이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함량으로 동정된 성분은 caryophyllene oxide로 SDE법은 234.16 ㎎/㎏, SPME법에서 195.44 ㎎/㎏으로 확인되었다. Sabinene, β-pinene, α-terpinene, γ-terpinene, yomogi alcohol, myrtenol, (Z)-nerolidol, p-cymen-8-ol 및 eugenol은 SDE법에서 동정된 성분이며, (E)-anethole 및 α-cubebene은 SPME법에서만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과 함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SDE법에 의한 경우가 SPME법보다 더 많은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