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를 활용한 채용시스템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2015년 상반기 공공기관 NCS 채용 성과를 중심으로

2015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기업뿐만 아니라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 는 NCS가 무엇이고 NCS 채용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2015년 상반기 NCS채용을 도입한 공공기관 의 성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NCS 채용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적접근과 질적접 근을 함께 적용한 트라이앵귤레이션 설계(triangulation design)을 활용하였다. 양적접근을 통해 NCS기 반 능력중심 채용 관련 효율성(채용의 공정성, 채용준비과정의 효율성, 기업의 비용절감, NCS채용의 이 해)을 파악하였고, 질적접근을 통해서 최근 5년간 채용인원과의 비교, 지역인재 채용비율, 출신대학 분 포와 조기 이직율, 신규입사자의 스펙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NCS 채용에 따라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이 높은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었다. 미리 직무에 대한 이해가 있는 신입직원들은 조직이해도가 높았으며, 신입직원인지 경력직원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빠른 조직 적응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취업준비생들에게 균등한 취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채용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학력 및 학점을 보지 않고 직무능력 중심으로 평가하는 NCS 채용은 취업준비생들에게 균등한 취업 기회를 제공하였고, 특히 NCS기반 직무수행능력 면접시험 은 스펙(학벌 등) 중심이 아닌 능력중심의 채용형태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셋째, NCS채용은 직무와 무 관한 무조건적 스펙 쌓기에 대한 한계점 등을 보여주는 도구로서 작용하였다. 즉 공공기관 대부분의 응 답자들이 ‘토익점수, 자격증 취득 등 취업준비생들에게 보편화된 준비사항으로 인지되고 있는 스펙사항 은 해당직무와 무관할 경우 취업 시 도움이 되지 않았다’라고 답변하여 직무와 무관한 스펙은 더 이상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NCS 기반의 채용은 취업준비생들 측면에서는 불필 요한 스펙 쌓기 비용과 같은 비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그리고 경제사회적 측면에서는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NCS 기반의 채용은 향후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적 도구 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