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수정시술시 난소과자극증후군 예방을 위한 알부민 투여나 모든 배아를 동결하는 방법의 효용성과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

1998 
1995년 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본원 불임클리닉에서 체외수정 및 배아의 자궁내 이식을 시행한 환자 가운데 hCG 투여일의 혈중 E2 농도가 4000 pg/ml 이상이고 채취된 난자수가 15개 이상으로 OHSS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 60예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중 OHSS를 예방할 목적으로 hCG 투여일에 알부민을 정맥 투여한 후 신선 배아를 자궁강내 이식한 46예(알부민 투여군)과 배아를 모두 동결한 후 다음 주기에 동결 배아를 녹여 자궁강내 이식한 14예(동결 배아군)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연령은 알부민 투여군이 31.1±0.6세, 동결 배아군이 32.0±0.6세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불임 기간도 알부민 투여군이 57.4±5.9 개, 동결 배아군이 53.6±9.3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2. 과배란유도시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 기간은 알부 민 투여군이 7.4±0.2일, 동결 배아군이 7.6±0.3일 이었 고, 투여 용량은 알부민 투여군이 21.1±1.3 ampule, 동 결 배아군이 17.4±1.5 ampule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초음파상 관찰되는 평균 직경이 14 mm 이상되는 난포의 수는 알부민 투여군이 14.7±0.8개, 동결 배아군 이 13.6±1.0개였고, 채취된 난자수는 알부민 투여군이 24.9±0.9개, 동결 배아군이 28.1±3.1개였고, 수정된 난 자수는 알부민 투여군이 13.4±0.8개, 동결 배아군이 14.8±1.1개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hCG 투여일의 자궁내막 두께도 알부민 투여군이 10.5±0.3 mm, 동결 배아군이 11.4±0.5 mm로 두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CG 투여일 의 혈중 E2 농도는 동결 배아군이 8,507±747 pg/ml로 알부민 투여군의 5,885±177 pg/ml보다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5. 이식된 배아 중 Grade I, I-1으로 분류되는 상태가 좋은 배아 수는 알부민 투여군이 2.4±0.2개, 동결 배아 군이 2.6±0.5개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임신율은 동결 배아군에서 64.3%, 알부민 투여군 에서 23.9%였고 착상률은 동결 배아군에서 30.6%, 알부 민 투여군에서 6.7%로 임신율과 착상률 모두 동결 배아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높았다(p<0.05). 7. OHSS는 동결 배아군에서 14.3%, 알부민 투여군에 서 8.7%가 발생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의의는 없었 다. 그러나 동결 배아군에서는 중등증 2예가 발생한 반 면 알부민 투여군에서는 증상이 심한 중증 2예가 발생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hCG 투여일에 알부민을 정맥투여하 고 신선 배아를 자궁강내 이식하는 방법이나 신선 배아 를 모두 동결한 후 다음 주기에 동결 배아를 녹여 자궁 강 내 이식하는 방법 모두 OHSS를 예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동결 배아군에서 혈중 E2 농도가 의의있게 높음 에도 불구하고, 해당주기에서 배아 이식을 하지 않고 다 음 주기에 동결 배아를 이식함으로써 중증 OHSS의 빈 도는 낮추면서 오히려 임신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OHSS 발생 고위험 환자군에서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