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meaning structure of 'play' based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9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분야 학술연구에서 논의되는 ‘놀이’의 의미관계를 분석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의 실행, 그리고 유아교육과정의 개선과 방향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향력 지수 2.0(2018년 8월 기준) 이상 유아교육분야 7개 학회지에 ‘놀이’를 주제로 발표된 학술논문 총 406편의 핵심어(키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교정, 통제, 제거를 거쳐 핵심어를 정제하는 과정, 핵심어 간 관계성과 상대적 중요성을 드러내기 위해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는 과정, 중심성 분석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성 분석을 통해 전체 의미구조를 탐색한 결과, 가장 핵심적인 단어(변인)는 유아교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놀이성, 상호작용, 행동이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에고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유아교사,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또래놀이로 나타났다. 한편, 에고 네트워크마다 구조적인 특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놀이 연구는 ‘교육’ 혹은 ‘교육과정’이라는 범주 안에서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많은 학술논문들이 유아교육기관이나 교육과정 안에서 놀이를 어떻게 실행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두고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탐색하는 연구를 지속해 왔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놀이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는 놀이의 교육적 가치나 기능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와 함께 놀이의 본질, 유아관점에서의 놀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를 제언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