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Calling Measure(MCM-K)

2014 
본 연구는 다차원적 소명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요인구성을 확인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독일과 미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원척도를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 문항을 완성하였고,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 내재적 동기 및 외재적 동기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공준 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존 소명연구에서 사용되어 온 간편소명척도와 한국판 소명척도가 사용되었다. 소명의식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변인으로는 자율성을, 결과변인 중 업무 관련 변인으로는 경력몰입, 조직몰입, 조직 동일시 및 직무 탈진을, 삶 관련 변인으로는 삶의 의미와 삶 만족을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3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소명척도가 국내에서도 타당함이 확인되었다. 다차원적 소명척도는 외재적 동기보다 내재적 동기와 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한 간편소명척도 및 한국형 소명척도와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들과의 관계도 소명의식 관련 기존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3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소명척도가 한국에서 소명의식을 측정하고 연구하는데 적합한 척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14
    References
    1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