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파일링 효용성의 수사실무적 평가: 프로파일링 수사기법 사용자를 중심으로

2020 
본 연구는 실무자들이 프로파일링 효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제 프로파일링 의뢰 경험이 있는 수사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결과, 프로파일링을 활용해 본 수사관들은 프로파일링의 ‘도움여부’, ‘정확도’, ‘신뢰도’, ‘재의뢰 의향’ 등 모든 설문 항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수사과정 중 조사과정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사건관련 심리특성 및 성향 등에 대한 이해부분에서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답하였다. 특히 ‘죄종별’ 활용정도는 살인이 가장 높았으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와 성범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프로파일링 ‘분석기법별’로 살펴보면 피의자의 자백과 관련한 ‘신문전략’ 및 ‘자백획득’이 도움정도, 정확도, 신뢰도에 있어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죄종에 따른 수사기법별’로는 통계적 제한이 있지만 죄종별 특성에 맞게 ‘살인’은 다양한 분석기법이 적용되었고 ‘절도’는 지리적프로파일링, ‘성범죄・아동학대’는 진술분석이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범죄’의 경우 프로파일링 지원건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이 분야에 프로파일링 기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죄종별·분석기법별 평가에 있어서 ‘도움정도’, ‘정확도’, ‘신뢰도’보다 ‘재의뢰 의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한 실무적 기대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들 평가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범죄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사건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법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는 등 전문교육을 강화한다면 프로파일링 효용성에 대한 평가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