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三國遺事)』의 향가(鄕歌)와 『균여전(均如傳)』향가(鄕歌)의 문법비교(文法比較)

2012 
『三國遺事』의 鄕歌는 中古韓國語의 資料이고 『均如傳』의 鄕歌는 近古韓國 語의 資料이다. 前者는 慶州地域에서 쓰여 졌고 後者는 中部地域출신에 의하여 쓰여 졌다. 이 두 文獻의 鄕歌는 이러한 時代的·方言的 差異를 실제로 보여 주는가 하는 의문을 가져 왔다. 이 글은 이러한 의문점에 유의하면서 두 문헌의 향가에 나타나는 文法 形態를 추출하여 서로 對照·比較하였다. 助詞, 語尾, 補助語幹, 接尾辭, 助動詞, 準文法 形態, 否定法 등으로 분류하고 그 하위 단위에 따라 각 형태 들을 機能別로 分類하여 그 例文을 들어 설명하고 대조하였다. 이로써 향가의 문법은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두 문헌의 量은 매우 빈약하여 시대적·방언적인 차이를 보여 주는 문법은 뚜렷하게 드러났다고 볼 수 없다. 다만 每個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每如/마다``와 겸양법의 ``白/□``은 균여전 향가에만 나타나 이들은 근고어의 특징을 보여 주는 것으로 보인다. 轉換의 接續語尾``如可/다가``는 處容歌에 나타나는데 이는 中世韓國語의 文法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 삼국유사와 균여전에서 ``支/디``가 ``友``자로 誤刻되었는데 이는 이들 문헌이 板刻될 무렵에는 如實法의 ``支/디``가 그 기능을 상실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