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체중 예측에 있어서 초음파 단층상 측정한 태아대퇴장경치의 유용성

1986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1986년 6월 1일부터 1986년 8월 31일 까지 산전관호를 받기 이해 내원한 산모중 만삭임신부 95예를 대상으로 분만전 72시간내에 Real-time초음파 촬영을 실시하여 아두대황경, 태아복귀, 태아대퇴장경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1) 아두대횡경, 태아복귀, 태야대퇴장경치 2) 아두대횡경, 태아복위 3) 태아복위, 태아퇴장경치를 각각 조합하여 다단계 중회구분석을 이용한 태아체중 예측 공식을 각각 산출하였으며 이를 한국인 태아를 적용한 다른 저자, 즉 Warsof(BPD, AC), Shepard (BPD, AC), Hadlock 1(AC, FL), Hadlock 2(BPD, AC, FL)의 공식과 비교 연구하였다 1 태아체중에츠공식은 다음과 같다 2 초음파상 측정된 태아 각부위를 이용한 체중예측 공식별 중 상관계수를 비교한 결과 중 산관계수는 공식 1이 0 89로 가장 높았으며 공식 2, 공식 3에서 각각 0 87, 0 85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Warsof와 Shepard, Hadlock 1,2의 공식을 이용시 중 상관계수는 각각 0 86, 0 86, 0 84, 0 87로 차이가 업었다 3 예측체중 및 실제체중의 절대오차의 평균은 공식 1이 159gm으로 제일 적었으며 공식 2, 공식 3은 각각 186gm, 187gm으로 차이가 없었다 Hadlock 2의 공식을 이용한 경우는 그 오차는 233gm이며, Shepard, Hadlock의 공식을 이용할시는 각각 244gm, 243gm으로 차이가 없었다 4 각 공식별 예측체중이 실제체중의 10% 이내로 예측이 가능했던 경우는 공식 1에서 90 5%로 가장 높았으며, 공식 2, 공식 3에서 각각 85 3%, 83 2%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Hadlock 2의 공식을 이용한 경우 77 7%이며 Hadlock 1, Shepard, Warsof의 공식을 이용한 경우는 각각 73 7%, 68 4%, 61 1%순이었다 5 각 체중분포별 예측체중 및 실제체중의 차이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공식 1, 공식2, 공식 3에서 모두 2500gm 이하군에서는 과소평가, 3500gm 이상군에서는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 표준 오차는 적었다 또한 Shepard, Hadlock 1, Hadlock 2의 공식을 이용시 2500gm이하군 및 2500gm∼3500gm군에서 과대측정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6 각체중예측공식별 과소, 과대평가의 비율로 분석해보면 공식 1, 공식 2, 공식 3에서 모두 균형이 잘 맞았으며 Hadlock 1, Shepard의 공식을 이용시 균형이 잘 맞았으나 Hadlock 2, Warsof의 공식을 이용시 과대측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7 아두대횡경치, 태아복위, 태아대퇴장경치를 이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