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편집에서 장면 전환(Transition)변화에 따른 감상자의 감성 변화 -Cut, Fade, Dissolve, Wipe 중심으로-

2012 
본 연구는 영상의 후반작업인 영상편집에서 샷(Shot)과 샷의 장면 전환(Transition)기법 중 Cut, Fade, Dissolve, Wipe 차이에 따라 변하는 영상을 통해 느끼는 인간의 감성 차이를 막연한 추측에서 벗어나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이론을 사용한 통계적 실증 분석을 통해 인간 감성을 평가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장면전환에 대한 감성평가표를 도출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면전환과 관련된 6쌍의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장면전환 효과를 적용한 4종류의 영상을 SD(Standard Definition)크기인 720X480 Pixel 제작하고 7점 척도(Self Assessment Manikins)를 적용하여 설문을 작성하고 68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실험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와 감성어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단순한-복잡한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Cut(M=3.2353)에서 매우 단순한, Fade(M=3.8235)에서 단순한, Dissolve M=4.7941)에서 복잡한 그리고 Wipe (M=5.8088)에서 매우 복잡한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부드러운-거칠은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Dissolve (M=3.0735)와 Fade(M=3.3676)에서 부드러운, Cut(M=4.0294)과 Wipe(M=4.4559)에서 거칠은 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동적인-정적인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Dissolve (M=3.1176)에서 매우 동적인, Wipe(M=3.7353)에서 동적인, Fade(M=4.3382)와 Cut(M=4.5147)에서 정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다섯째, 자연스러운-인공적인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Fade(M=2.6324)에서 매우 자연스러운, Dissolve(M=3.3676)에서 자연스러운, Cut(M=4.3382)과 Wipe(M=4.5147)에서 인공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여섯째, 고급스러운-평이한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Fade(M=3.0882)와 Dissolve(M=3.4265)에서 고급스러운, Wipe(M=4.3088)과 Cut(M=4.8676)에서 평이한 선호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색한-친숙한에 대한 감성어휘 선호도는 Wipe(M=3.0441)에서 매우 어색한, Cut(M=3.7794과 Fade(M=4.3235)에서 중립적인, Dissolve (M=4.4853)에서 친숙한 선호도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편집에서 장면전환 차이에 따라 변하는 영상에 대한 감상자의 감성반응을 미리 파악하여 영상 편집에 있어 시간과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