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icon Old Web
English
Sign In

黨爭과 植民地 史學

1991 
(1) 한국의 史學界가 안고 있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해방 半世紀를 눈앞에 둔 지금까지 청산되지 않은 植民地史學의 문제일 것이다. 古代史에 있어서의 疆域學의 날조로부터 비롯하여 조선왕조 시대의 사회경제사의 왜곡은 식민지 사학자들이 집요하게 추구한 표적이었고 특히 그 중에서도 黨爭의 문제는 한일 합병을 정당화시키기 위한 好材가 되었다. (2) 식민지 사학에서 黨爭을 보는 視角은 첫째, 한국 민족은 민족성이 잔학하고 「피가 더러운」 종속이기 때문에 살륙을 生來的으로 자행하였는데, 이것이 한국인의 참 모습이라는 점과 둘째, 黨爭은 조선왕조의 개국에서부터 멸망할 때까지 일관한 惡이었으며, 士禍는 물론 그 후의 천주교 박해와 東學亂, 그리고 「3.1騷擾」까지도 이 惡에 포함시켜 설명되어야 한다는 점, 세째, 黨爭은 피어린 싸움이었으며, 따라서 그로 인한 인명 피해도 참혹했고 막심했다는 점, 네째, 그래서 결국 조선은 스스로를 통치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지 못한 민족이기 때문에 한일합병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3) 그러나 黨爭은 식민지 사학자들이 말하는 것과 같은 정치적인 惡만은 아니었다. 黨爭의 발생사적 배경은 민족성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경제적 표출 현상이었고, 실제로 黨爭이 역기능을 한 기간은 50년에 지나지 않으며, 인명 피해의 정도도 그리 심하지 않았고, 亡國과 직접적인 함수관계를 갖는 것도 아니다. 蕩平策이라는 것도 英祖가 王權을 공고하게 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지, 黨爭의 폐해를 걱정해서 고안한 것은 아니었다. (4) 요컨대 첫째, 黨爭은 그 당시의 체제가 취할 수 있었던 최선의 言路였으며 토론 정치의 朝鮮朝的 표현이었다. 둘째, 黨爭은 그 당시로서의 정치 발전의 한 메카니즘이었다. 그 論據로서는 黨爭이 가장 심했던 肅宗年間에 민중적 삶이 가장 평온했고, 黨爭이 사라진 純ㆍ憲ㆍ哲宗時代가 조선왕조의 몰락의 시기였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세째로, 따라서 黨爭은 조선조의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었던 한국적 유형의 정당이었다. 黨爭은 日本의 식민지사학에서 지탄하고 있는 것처럼 亡國的 政治惡은 아니었으며, 한국정당사의 초기적 형태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