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디옵터 이상의 각막 난시에서 난시 각막굴절콘택트렌즈의 효과

2015 
목적: V4형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삽입 후 평균 7.5년의 장기 경과관찰 시 백내장의 발생빈도와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과 방법: ICL 삽입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가 -12.7D이고 수술 후 경과관찰 기간이 최소 3년 이상인 고도근시 환자 118명 228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수술 전, 수술 후 3개월, 3년, 마지막 경과관찰 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백내장 발생의 위험인자들과 생존분석상 10.3년째 백내장 누적발생률과 누적 백내장 수술률을 알아보았다. 결과: V4형 ICL 삽입술을 시행하고 최소 3년 이상 경과관찰하였을 때 생존분석상 10.3년째의 백내장 누적발생률은 20%였으며 실제 백내장 발생 환자는 34안(14.9%)이었다. 생존분석상 10.3년째의 누적 백내장 수술률은 12%였으며, 실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눈은 12안(5.3%)이었다. 백내장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나이(odds ratio [OR]=1.10, p=0.00), 수술 전 구면렌즈대응치(OR=0.90, p=0.00), 수술 전 수정체 두께(OR=9.54, p=0.00), 수술 전 안축장 길이(OR=1.33, p=0.00), 수술 후 3개월째 vault (OR=0.50, p=0.03), 마지막 경과관찰 시 ICL과 수정체의 주변부 접촉(OR=7.84, p=0.00)이 있었다. 결론: ICL 삽입술 후 중심부 vault의 감소 및 ICL 광학부 테두리와 수정체 주변부 사이의 접촉이 ICL 삽입술 후 백내장 발생의 주된 위험인자 중 한 가지로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