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properties of newly bred Green ball apple (Malus pumila Mill.)

2018 
신육성품종 그린볼 껍질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항산화, hyaluronidase 활성억제, elastase 및 collagenase 효소 활성억제 등의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신육성품종 사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린볼 껍질로부터 생리활성으로 작용하는 phenolic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water과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5.30, 8.31 mg/g의 비교적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anol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phenolic 화합물량을 나타내었다. 그린볼 껍질 추출물의 DPPH, ABTS radical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phenolic 화합물양을 50-10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water과 ethanol 추출물 1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88.26, 100.00%의 DPPH adical 저해 효과와 99.27, 99.09%의 매우 높은 ABTS radical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PF는 water과 ethanol 추출물 1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1.43, 1.21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는 1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water 추출물은 60.29%, ethanol 추출물은 75.92%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그린볼 사과 껍질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로 사용한 후지 품종에 비하여서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린볼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6.45, 20.78%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후지 품종에 비해 항염증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water 추출물에서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3.90, 40.0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에서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63.38, 80.07%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구로 사용한 후지 품종의 elastase 억제효과에 비해 그린볼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collagenase의 경우도 100-150 μg/mL phenolics 농도범위에서 후지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그린볼 사과의 껍질 추출물은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3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