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2018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단 자료의 시점이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학교급의 전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자아개념의 하위요소들 중 또래친구 등 사회적 인간관계와 관련된 사회 자아개념, 학교 수업활동과 관련된 학업 자아개념 두 가지를 각각 독립된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자아개념과 학업 자아개념의 변화가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어떠한 종단적 관계를 보이며, 이러한 종단적 관계가 개인차 요인 중 성별에 따라서도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다집단 다변량 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 모두 중학교 시기에 감소하고 있었으며, 진로성숙도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사이에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세 변인의 단변량 모형 비교 결과 2~3차를 기준으로 그 전과 후의 변화율을 다르게 추정한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 학교급 변동과 같은 전환기의 변화가 세 변인의 종단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변인별 분할함수 성장모형들을 종합하여 관계를 설정한 다변량 성장모형으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동일하게 두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초기값끼리, 두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변화율1끼리, 두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변화율2끼리 비슷한 시점의 경로계수들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두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련성이 학교급 변동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반영된 의미있는 전환기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