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course Strategy of Code Switching on SNS texts: In the case of Korean-Chinese and Chinese

2020 
이 논문은 카카오톡(한국 모바일 메신저)과 위챗(중국 모바일 메신저) 등 소셜 네트워크 채팅에서 이루어지는 코드 전환의 담화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10명의 조선족과 10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이 나누는 여러 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관찰한 조선족과 중국인 학습자들의 SNS텍스트에서 청자구분(Addressee specification), 감정표현(affective expression), 확인/초점(confirmation/focus), 반복에 의한 강조(emphasis by repetition), 어휘적/숙어적 표현(lexical/idiomatic expression), 개인화 대 객관화(personalization versus objectification), 체면 위협 행위 완화(face-threatening acts mitigation), and opinion expression(의견 표현)등 8가지의 다양한 코드 전환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중 조선족 그룹에서는 “반복에 의한 강조”나 “의견 표현”의 전략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인 그룹에서는 “확인/초점” 전략이 사용되지 않았다. 둘째, 두 그룹의 SNS 텍스트에서 코드 스위칭은 특정 청자와 대중을 구분짓는 수단으로서, 청자의 L1이 무엇인지에 따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언어 선택 전략으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두 그룹에서 코드 스위칭의 사용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측면은 코드 스위칭이 객관성(공지, 공식적인 요청, 공식 발화 등)과 주관성(감정이나 의견의 표현, 친밀함을 전하는 사적 발화)을 구분하기 위한 표지로서 사용되었다는 것에 있다. 본 연구 결과, 조선족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주어진 맥락에서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해가기 위한 담화 전략으로서 코드 전환을 폭넓게 사용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