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 정보통계 정책 전망과 과제

2020 
정부 정책 중에서도 정보통계 영역은 기반적이며 지원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2020년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 의료 데이터 중심 병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 사업, 전자 의무기록 인증 제도 등 보건의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계하여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한 해가 될 것이다. 포용적 사회보장체계 구축 지원을 담당할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개발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보건복지부 차원의 총 47종 승인 통계 중 33종의 승인 통계가 공표될 예정이다. 이에 보건의료 정보 정책의 경우 민간뿐 아니라 산업적 측면도 고려하여 지속적인 협의와 조정 속에서 정부의 입장을 공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명실공히 보건의료 정보기술(IT)의 중추로서 보건의료 정보화의 큰 그림을 그리는 것과 함께 기존 사회보장정보원과의 업무 협력, 역할의 명확화 등을 위한 작업도 필요하다. 한편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시스템 개발 시 사용자가 항시 참여하고 모니터할수 있는 채널 확보가 필요하다. 좋은 정책에는 좋은 통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2020년에는 이러한 좋은 통계 산출을 위하여 다양한 통계 수집 주체 간, 국가 통계와 지역 통계 간, 정책 수립·이행·평가 간 종합적인 구조 안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며 이들 토대 마련을 위한 보건복지 통계 관리 체계(거버넌스)가 정립되어야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