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for Cortisol Level in Cord Blood
2003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목적기초연구(2000-1-206-006-3) 지원으로 수 행되었음. 본 연구는 2001년 제14차 대한주산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일반연제로 구 연되었음. 접수 : 2002년 10월 16일, 승인 : 2002년 11월 9일 책임저자 :김은영,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 Tel : 062)220-3055 Fax : 062)227-2904 E-mail : sskey@chosun.ac.kr 미치는 태아 자체의 문제나 임신 중 합병증에 의해서 태아의 폐 발달 및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뇨병이나 임신 중독증 등의 임신 중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 태아 부신의 태아대 (fetal adrenal zone)의 감소가 관찰되어 구조적 이상을 증명하 였고 3) , 만성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태아 부신의 태아대에서 생 산되는 dehydroepiandrosterone(DHEA) sulfate가 감소되고, 코 티솔 농도는 상승되어 스트레스 상태에 따라 태아의 부신 호르 몬 합성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4-7) . 이와 같이 태아의 스 트레스 호르몬 분비는 만성적인 스트레스 상황 뿐만 아니라, 분 만 동안 급성기 상태의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것으 로 생각된다. 분만시 태아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에 대한 연구에 서는 분만 형태나 분만시 신생아 가사 상태에 따라 코티솔 농도 의 차이가 있다는 연구 1, 8) 와 차이가 없다는 연구 9) 결과들이 있 어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분만 기전에 태아의 코티솔 분비가 관여한다는 연구 10) 와 분만 방법에 따른 태아 스트레스 호르몬에 대한 연구 11) 만 있고, 분만 동안 태아 및 산모 상태에 따른 제대혈 코티솔 농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 자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임신 기간에 따른 제대혈 Cortisol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Keywords: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