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2021 
본 연구는 유아들이 체험한 스마트폰 사진 놀이의 현상학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사진과 관련된 연구자의 체험, 관용어, 예술작품, 그리고 본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있는 대전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4세 행복반 유아 19명의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 관한 현장 자료들을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자료들은 귀납적 주제 분석을 거쳐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4가지 실존체로 분류되었다. 스마트폰 사진 놀이에서 유아가 체험한 신체성은 ‘새로운 봄, 새로운 몸’, ‘나를 보는 나’, 시간성은 ‘붙잡힌 시간’, ‘다시 만나는 시간’, ‘미래를 품는 시간’, 공간성은 ‘새롭게 다가오는 공간’, ‘제한과 확장의 공간, 프레임’, 관계성은 ‘“우리는 친구”라는 조용한 선포’, ‘다가감의 통로’, ‘특별한 존재, 선생님’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서의 현 시대 유아의 놀이와 유아교육 내 사진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리라 기대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