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가지 다른 교각운동에 따른 중년여성의 체간근 활성도 비교

2014 
본 연구는 요부 안정화 운동으로 시행되고 있는 교각운동을 세가지 다른 운동 방법에 따른 중년여성의 요부 안정화 근육들의 근활성도를 비교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척추 안정화를 위한 바람직한 운동형태를 설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중년여성 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을 하는 동안 표면 근전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직근, 내복사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의 각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Bridging 동작 간(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의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원배치반복측정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bonferroni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세 가지 다른 방법의 교각운동에 따른 각 근육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근활성도에서 bridging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중 복직근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5),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p<.05). 내복사근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 bridgingⅢ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은 bridgingⅡ에서 모든 근육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요부 안정화에 관여하는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bridgingⅡ를 통하여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