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 그 상반된 욕망의 서사

2017 
본고는 와 의 서사구조와 의미 분석을 바탕으로 설화에 투영된 욕망 추구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보이는 것을 보이지 않게 하고자 하는 욕망의 서사’인 는 ‘고난’-‘행운’-‘의외의 고난’-‘행운’-‘의외의 고난/행운의 완전한 소멸’로 전개되는 M자형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반면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자 하는 욕망의 서사’인 은 ‘고난’-‘의외의 행운’-‘고난/행운’-‘의외의 행운’-‘고난의 완전한 극복’으로 전개되는 W자형의 서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두 설화는 주인공의 가난한 현실이라는 동일한 상황을 문제 삼되, 에서는 사회적으로 억압해 왔던 욕망의 자유로운 추구를 서사 전개의 중요한 축으로 다루었으며, 에서는 본질적이고 생산적인 부부 관계의 추구를 서사 전개의 중요한 축으로 삼았다. 두 설화의 의미 해석과 관련해서는 표면적 의미보다 이면적 의미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에서는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모습의 은폐와 관련한 윤리성의 문제를 검토하였고, 에서는 문제 해결의 새로운 대안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폭력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는 가난한 현실의 타개라는 개인의 절박한 상황과 불법 행위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는 윤리 의식, 그 두 개의 축 사이에서 윤리 의식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귀결되는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욕망 추구에 공감하고 동조하고자 하는 지향을 담아낸 것으로 이해하였다. 한편 서로에게 어울리는 제 짝을 만나야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그렇지 못한 현실의 문제를 다룬 은 현실의 고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부 짝 바꾸기라는, 사회의 오랜 통념과 대립되는 진보적 해결 방법을 제시했지만, 이면적으로는 그러한 해결 방법이 가지고 있는 폭력성과 한계를 동시에 이야기한 설화라고 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