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살모사 3종의 생태에 관한 연구 (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and G. saxatilis)

2018 
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공간적 분포에 대한 정보는 생물지리학적 분포 형태를 이해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종간 생태적 정보를 기반으로 계통분류학적 근 연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흥미롭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역에 서 식하고 있는 살모사 3종의 생태적 정보를 통해 그들 간의 생태적 지위와 분포형태를 확인하고, 살모사와 쇠살모사에 비해 비교적 높은 고도에 서식하고 있었던 까치살모 사의 분포를 검증하기 위해 무선추적 기법을 이용한 이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 과, 살모사 3종의 분포형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종들 간의 생태적 지위는 높게 중첩되어 있었다. 또한 살모사들이 공존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 된 지역들은 태백산맥 주변과 고위도 지역에 위치한 산림지역으로 확인되었고, 전체 조사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적은 범위가 중첩되어 접소적인 분포형태를 나타내고 있었 다. 까치살모사와 쇠살모사가 공존하고 있는 천마산 군립공원에서 두 종간 분포 현 황을 확인한 결과, 쇠살모사는 낮은 고도에 위치한 습하고 태양반사도가 낮은 계곡 지역들을 선호한 반면, 까치살모사는 쇠살모사에 비해 높은 고도에 위치한 건조하고 태양반사도가 높은 산림 지역들을 선호하고 있었다. 더욱이 두 종의 생태적 습성은 한국산 살모사 3종의 계통발생학적 근연관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까치 살모사를 대상으로 무선추적 기법을 통한 이주실험을 수행한 결과, 낮은 고도로 이 주시킨 까치살모사들은 자신들에게 친숙한 환경을 찾기 위해 높은 고도에 거주하고 있는 까치살모사들 보다 행동권과 이동거리가 크게 증가 했으며, 높은 고도로 이동 하려는 홈밍행동(Homing Behavior)의 경향을 나타냈다. 더욱이 고도에 따른 이주실 험이 두 그룹의 행동권과 이동거리, 이동한 고도 모두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까치살모사의 서식지는 고도에 따라 제한된 분포 경향을 보였으며, 일정 고도(약 400m) 이상에 주로 분포할 것으로 판단된다. 까치살모사 암컷과 수컷의 짝짓기 행동 을 확인한 결과, 총 10가지의 구애와 관련된 행동들이 관찰되었으며, 관찰된 행동들 은 일반적으로 살모사과 종들에서 나타나는 구애행동들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 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살모사과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암컷의 구애 행동 중 ‘Quivering' 행동이 관찰되어 이들의 구애행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연구 가 진행된다면 계통학적 특징과 종 특이적 생활사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