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마을 사업에서 귀농·귀촌리더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용인 a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2019 
1990년대부터 정부는 다양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행하여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농촌에 잠재되어 있던 공동체 의식을 촉진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사업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고 이에 무엇이 마을공동체 사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 되었다. 연구결과 마을리더의 역량, 신념, 추진력 등이 공동요인으로 발견되었고 특히 변화된 농촌상황에서 마을리더의 전문성이 강조되었다. 현재 농촌마을의 리더 중 46.2%가 귀농·귀촌인으로서 마을공동체 사업의 새로운 리더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귀농·귀촌리더와 관련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귀농·귀촌리더가 실제 마을공동체 사업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사례연구를 진행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귀농·귀촌인으로서의 특성이 마을일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활동력 있는 젊은 연령대, 도시민의 시각을 가진 객관적 시선, 숙련된 정보화기술력 등이 영향을 준 것이다. 둘째, 귀농·귀촌리더에게는 전문성이라는 지도자로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도자의 봉사정신, 희생정신과 같은 지도자의 태도가 바탕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귀농·귀촌리더의 역할은 농촌마을에 흐려졌던 공동체성을 다시 살아나게 만들었음을 발견하였다. 사업이 진행되며 주민들의 소득이 높아지자 주민들에게 다시금 마을에 대한 애착과 공동체성이 살아나게 된 것이다. 결국 귀농·귀촌리더는 원주민과 다른 시선으로 마을을 봄으로써 마을의 강점과 약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농사와 관련된 기술은 부족하더라도 정보화활용기술은 뛰어나기 때문에 원주민과 협력한다면 마을에 상승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농촌마을의 공동체성을 살아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