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2012 
본 연구는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 하는, 0세∼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척도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양육효능감(2010)척도와 양육지식(2011)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 과는 PK(양육지식)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과의 관계는 r=.79, PK와 PA(양육태도)는 r=.76, PA와 CA(의사소통능력)은 r=.62, PA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은 r=.79, SRA(자기조절능력)과 CA(소통능력)은 r=.80, SRA와 TSE(양육효능감 총합)은 r=.78, SPA(문제해결능력)과 CA(의사소 통능력)은 r=.69, SPA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은 r=.75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의 하나인 양육지식’ 과 ‘양육지식’과의 관계에서는 큰 의미를 찾지 못했다. 그것은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의 양육 지식’은 매우 광범위한 일반 지식이었고 또 하나의 척도인 ‘양육지식’은 매우 전문적인 발달지식과 세부적인 개념이 포함된 지식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이 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적게 나타난 이 결과를 연구자는 처음엔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그 이유를 분석하고 나니, 영유아기 의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준비 역시 지식의 난이도와 세부적인 측면에서의 좀 더 세밀한 준비와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본 연구의 나름대로의 의미 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과는 이러한 의미에서 부모의 양육지식과 관련 된 다양한 연구의 또 다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