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時代(조선시대) 詩經學(시경학) 속의 朱熹(주희) 詩經學(시경학) -수용과 재해석 양상을 중심으로-

2013 
시경학이 한국 전통 시경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왔음에 불구하고, 종래 조선시대 시경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주희 시경학과는 다른 성격 내지 반대되는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주희설이 조선시대 시경학에 큰 영향을 끼친 만큼 그 수용 .해석 양상이 구멍되어야 조선시대 시경학의 전체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소위 ‘반주자’ . ‘탈주자’로 일컬어지는 시경학의 성격도 보다 온전히 구멍될 수 있읍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시경학에 수용.재해석된 주희 시경학의 연모를 고찰하여 조선시대 시경학의 다층적 면모를 밝히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대상 주석서는 조선시대 주희설 수용 양상이 비교적 전형적으로 드러난 8종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조선 시경학에 드러난 주희 시경학에의 접근 시각과 道學 思想, 詩義 脈絡, 문헌 대상으로서의 측면, 우리말 언어 전환 과정 네 가지 방면이다. 본고의 텍스트 선정이 주희 중심적 주석 경향을 모두 대변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조선시대 주희설 이해 양상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데 발판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